환경단체 "강성재료 과도하게 써 자연성 무시" 반발

환경부 시범사업을 진행 중인 창원시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오히려 하천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설계부터 미흡했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지난해 발생했던 공사구간의 수해 복구과정에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며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환경단체는 창원시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4대 강 사업의 축소판이라고 비판했다.

창원시는 2006년 도시팽창과 수질오염으로 환경기능과 활용도가 떨어진 창원천과 남천을 복원해 자연과 사람이 공생하는 도심 속에 생명이 살아나는 하천으로 만들고자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복원사업을 진행했다. 창원시는 국비와 지방비를 통해 남천에 292억여 원, 창원천에 274억여 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애초 2011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2007년 12월 공사에 들어갔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쏟아진 폭우로 생태 복원을 위해 바닥에 깔아 놓은 돌과 하천 둔치의 순환 산책로, 어류 관찰 데크 등이 유실됐다.

이로 말미암아 남천에서 12억여 원, 창원천에서 7억여 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탓에 창원시는 지난 3월부터 창원대 앞 퇴촌 2호교∼지귀상가 앞 창원천 2호교 구간의 창원천과 가음정천 합류구간인 야촌교∼목동교 구간의 남천에서 홍수 피해구간 보강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복구사업에서 조경석과 철망(스톤매트, 게비온 매트리스) 등의 강성재료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어 환경단체는 생태하천이 아니라 인공하천으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창원대 앞 창원천에서 수해 보강공사가 한창이다. 굴착기가 콘크리트로 된 하상보호벽 사이에 석재를 다져넣고 있다. / 유은상 기자 yes@
마창진 환경운동연합은 "홍수 피해구간의 보강계획은 조경석, 철망(스톤매트, 게비온매트리스) 등의 강성재료를 이용해 보강하고 여기에 완성된 식재를 심는 방식"이라며 "이는 물의 흐름과 에너지에 따라 하천의 선형이 자연스럽게 갖추어지는 하천의 자연성을 완전히 무시하고 고정된 틀에 물을 맞추어 흐르게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는 단지 생태보다 치수를 우선으로 둔 것일 뿐, 환경파괴는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정상적인 절차와 과정을 거치고, 합동조사단의 의견과 환경부의 승인을 받아서 복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치수에 무게를 두었을 뿐이지 환경파괴는 아니고, 복구에 이어 진행될 생태하천 조성사업은 더욱 치밀한 계획을 세워 시행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