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하천 복원사업은 애초부터 설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제대로 된 생태하천 복원이 되려면 사람보다는 하천을 먼저 생각하여 외관만 번지르르한 게 아닌 하천의 자정 능력을 살릴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하였다. 그러나 창원천과 남천은 도심에 있는 하천으로서의 한계와 함께 환경보다는 치수를 먼저 생각하는 당국에 의해 사람들이 보기에 좋고, 이용하기에 편리한 하천의 모습으로 공사가 진행되었다.
공사가 일사천리로 이루어졌으면 또 그렇게 흐지부지 넘어가고 말았을 터였지만 지난해 수해로 큰 손해를 보았고, 홍수철이 닥치기 전 부랴부랴 피해구간에 대한 복구공사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그 복구공사란 것이 생태하천 복원이라는 미명조차 뒷전임이 드러나는 바람에 환경단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환경단체들에 의하면 홍수 피해구간에 진행되고 있는 복구공사 방식이 조경석과 철망 등의 강성재료를 이용해 보강하고 여기에 완성된 식재를 심는 식이어서 하천의 자연성을 완전히 무시하고 고정된 틀에 물을 맞추어 흐르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이대로 공사가 계속 진행될 때 또다시 폭우에 의한 피해가 생길 우려가 크다고 한다. 하천 폭을 좁히는 구조물 설치는 물 흐름을 방해해 부작용만 가중시킬 것이라는 논리다.
2개 하천 피해 복구비가 20여억 원에 이른다고 하니 지난해 홍수 피해액을 합치면 4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이 낭비될 지경에 있다 하겠다. 이쯤 되면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예산은 예산대로 낭비되고 생태는 생태대로 되살리지 못함을 새롭게 인식하고 전반적인 사업 방향에 대해 재고를 해야 마땅하다.
그럼에도, 창원시는 생태보다 치수를 우선으로 둔 것일 뿐이라면서 복구에 이어 진행될 생태하천 조성사업은 더 치밀한 계획을 세워 시행해나갈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먼저 수해 입은 곳을 복구하고 나서 나중에 생태를 고려하겠다는 주장이다. 시멘트로 견고하게 다져진 구조물을 나중에 어떤 식으로 생태 복원을 하겠다는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하천의 흐름을 고려하지 않고 복구한 하천은 수질오염에도 취약함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창원시는 땜질식 수해복구공사를 서두르기보다는 먼저 창원 천과 남천을 살려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