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구조물 설치 Stop !장기대책 고민후 Start !
창원시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오히려 하천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논란에도 창원천과 남천의 수해 보강공사가 우기에 접어드는 6월 말 마무리를 앞두고 한창이다.
취재진이 현장을 확인한 25일 창원천 보강공사는 창원대 앞에서 사림 민원센터 사이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창원대 정문 쪽은 이미 사석과 조경석이 저수로와 둔치에 쌓여 어느 정도 모양을 갖추어 마무리돼 있었다. 아래쪽은 경사가 급한 탓에 30∼50m 간격으로 콘크리트 하상보호벽이 설치되고 있었고, 굴착기가 소음 민원을 우려한 탓에 아래위로 옮겨다니며 낙차공 아래에 사석을 박아 넣고 있었다.
남천 보강공사는 가음정천 합류지점인 야촌교 아래에서 공사 중이다. 역시 콘크리트로 된 하상보호벽이 곳곳에 설치돼 있었고, 인근 바닥도 콘크리트 시공이 이뤄지고 있었다. 또 한쪽에는 굴착기가 저수호안을 다지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처럼 콘크리트 하상보호벽과 콘크리트 바닥, 저수호안과 둔치 등에 설치될 스톤매트, 게비온 매트리스 등의 강성재료가 오히려 하천을 고정화한다며 환경단체는 우려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애초 목적대로 복원돼야 = 환경단체는 선 중심의 하천사업을 면 단위로 확대, 유역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 도심의 물순환 체계를 바로 잡자는 것이지만, 현재 창원시의 복원사업은 방재하천, 공원하천으로 회귀하면서 애초의 의도를 잃어버렸다고 꼬집고 있다.
마창진 환경운동연합 이보경 교육정책 부장은 "치수 목적을 넘어선 과도한 구조물 설치는 하천의 자연 회복력을 기대할 수 없다"며 "우기를 앞두고 급하게 공사를 할 수밖에 없다면 유속이 강한 낙차공 주변과 교량 주변의 보강만 진행하고 동시에 진행되는 둔치 평탄화 등의 공정은 집중호우로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환경단체는 창원시의 올바른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위해 하천 상류의 담수능력 복원 등을 장기적인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부장은 "창원천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시범사업이기에 신중하게 진행하지 않으면, 전국의 모든 하천에서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다"며 "많은 예산을 하천에만 쏟아부을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상류의 용추저수지 담수능력 복원 등 저수공간 확보와 지하수 재사용 대책, 빗물 재사용 방안, 투수율 증대 등 홍수 피해 최소화와 유지용수 확보를 위한 대책도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자연이 만든 물길을 중심으로 보완해야 = 전문가들은 지난해 폭우로 자연스럽게 만들어 놓은 물길을 살리면서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신중하고 면밀한 검토를 거친 뒤 장기적인 계획에 따른 공사진행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내놓고 있다.
박재현 인제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하천에 각종 시설을 도입하고 실제 하천과는 동떨어지게 되는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문제다. 자연의 가이드라인을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며 "홍수복구를 위해 적절하게 강성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치수 편의성만 강조해 무작위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