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관계자 동행 현장답사서 전문가 "최악의 대책"…시 "중단 없다"
창원천 일대 수해 대비 공사에 대해 환경단체가 무익한 공사라며 문제를 제기하자, 22일 오전 경남도, 창원시, 환경단체 관계자 등이 함께 창원천을 둘러봤다. <21일 자 5면 보도>
그러나 창원시는 계획한 대로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뜻을 고수했고, 환경단체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벌이는 창원천과 연결되지 않는 사업이라며 사업 중단을 거듭 촉구하며 팽팽하게 맞섰다.
시·도 관계자와 환경단체 관계자들은 21일 오전 9시 50분께 경남도민의 집에서 출발해 1시간여 동안 창원시 사림동 창원대 앞에서 창원시 팔룡동 홈플러스 맞은편까지 창원천 일대를 현장 답사했다.
창원대 앞 창원천은 이미 조경석을 깔고, 하천을 정비하는 작업이 마무리됐다.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홈플러스 맞은편 옹벽 설치에 대해 지난해 이곳 하천 피해를 조사한 전문가는 최악의 방안이라고 의견을 냈다.
현장을 둘러본 관동대 토목공학과 박창근 교수는 "홍수를 막는 최상책은 하폭을 넓히는 것이다. 차선이 하천 땅을 파는 것이고, 그다음이 제방을 높이는 것이다. 가장 마지막 안이 옹벽(파라펫)을 설치하는 것인데, 창원시가 가장 좋지 않은 대책을 세웠다"고 꼬집었다.
옹벽 설치는 도심지에서 전혀 어울리지 않을뿐더러 큰 홍수 시에는 오히려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것.
박 교수는 "하천 상류 쪽에 대책을 세우는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창원시가 올해 2월에 낸 '창원천, 남천 생태하천복원사업 집중호우 피해원인분석 조사서'에서 지난해 하천 피해 원인을 단기간 집중 호우로 결론을 내렸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도 했다.
박 교수는 "지난해 이곳의 피해 원인은 천재가 아니라 인재였다. 보고서에는 10분 지속 폭우의 빈도가 136년이라고 했지만, 제가 조사했을 때는 이보다 훨씬 적은 빈도 수로 조사됐다. 신뢰할 수 없는 보고서에 기반을 둬 홍수 대책을 세우는 것은 곤란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러한 의견에 대해 사업을 벌이는 창원시는 그래도 사업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전했다.
창원시 재난관리과 관계자는 "당장 올해 수해가 급해서 시민의 안전을 위해 1m 옹벽을 설치했다. 작년에 이쪽 하천물이 넘칠 뻔해서, 올해는 그런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하려고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재해예방시설 공사인 옹벽 설치를 이달 말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창원시는 단기적으로 생태하천 복원사업과 별도로 진행하는 이번 사업은 그대로 진행하고, 일시적으로 중단된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9월께 환경단체, 전문가들과 협의해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우귀화 기자
wookiza@idomin.com
자치행정1부에서 창원시, 창원시의회 담당하고 있습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