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민주주의전당 자문위원 재구성 등 요구
장기 표류 사업 중립 조정 기구 제안도 나와

김묘정 창원시의원이 25일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정상화를 촉구하는 5분 발언을 하고 있다./창원시의회
김묘정 창원시의원이 25일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정상화를 촉구하는 5분 발언을 하고 있다./창원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창원시의원들이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기능 정상화를 주문했다.

창원시의회는 25일 제2차 본회의를 열고 조례안과 결의안·건의안 등 25개 안건을 처리했다.

김묘정(더불어민주당, 팔룡·의창동) 시의원은 5분 발언에서 “민주주의전당 기능과 존재 목적에 부합하도록 공간을 재배치하고 전시 콘텐츠 구성이 시급하다”며 “민주주의전당 정상화로 우리 사회가 민주주의 가치를 되새기고 미래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백승규(더불어민주당, 가음정·성주동) 시의원은 논란이 됐던 민주주의전당 자문위원 재구성을 언급했다.

백 시의원은 “창원시가 정식 개관을 무기한 연기하면서 공공성과 신뢰에 큰 타격을 줬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의회 의장이 추천하는 시의원을 전당 당연직 자문위원으로 명시했다고 해서 이를 기계적으로 고수할 이유가 없다”며 손태화 의장에게 정치적 결단을 요구했다.
 

백승규 창원시의원이 25일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정상화를 촉구하는 5분 발언을 하고 있다./창원시의회
백승규 창원시의원이 25일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정상화를 촉구하는 5분 발언을 하고 있다./창원시의회

의장 추천 자문위원(김미나·남재욱 시의원) 자진사퇴나 의장 지명 철회를 압박한 것이다. 이에 대해 손 의장은 지명 철회 의사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자문위원 정치적 성향을 고려해 균형을 맞춘 지명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어진 5분 발언에서는 장기 표류하는 대형 사업 문제가 지적됐다.

박강우(국민의힘·비례) 시의원은 마산해양신도시, 구산해양관광단지 조성 사업 등을 언급하며 사업 정상화를 촉구했다.

박 시의원은 “장기 표류 사업의 공통 문제는 협의 부족, 책임 회피, 현실을 외면한 갈등 구조”라며 “창원시와 관계기관, 민간사업자 간 소통이 단절되면서 서로 입장만 고수하는 평행선이 반복된다”고 진단했다.

박 시의원은 “창원시가 사업 해법을 찾기 위한 중립적인 조정기구 구성, 실무협의체 가동, 사업 타당성 재검토와 우선순위 조정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강우 창원시의원이 25일 장기 표류 대형 사업 정상화를 촉구하는  5분 발언을 하고 있다./창원시의회
박강우 창원시의원이 25일 장기 표류 대형 사업 정상화를 촉구하는  5분 발언을 하고 있다./창원시의회

이날 창원시의회는 창원시의회 공무원 복무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 창원시의회 위원회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 창원시 지하안전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안 등을 통과시켰다.

이우완(더불어민주당, 내서읍) 시의원이 대표 발의한 창원시 지하안전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에는 땅 꺼짐(싱크홀) 발생에 대응해 창원시의 체계적인 지하 안전관리 기반을 구축하는 내용이 담겼다.

/우귀화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