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장관행 유력설 나오는 가운데
정부 11개 부처 1차 인선에서 행안부 빠져
천착해 온 '국가균형발전' 추진 적임자이나
과중한 업무 분야…드루킹 후과 등 '장애물'
장관직과 선출직 두고 고민할 지점도 많아
김 전 지사 행보 두고 정치권 내 '설왕설래'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발표한 첫 내각 인선에서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가 빠졌다. 그동안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유력하게 거명됐지만 이번에 이름이 오르지 않았다. 행안부 장관은 이상민 전 장관이 자진사퇴해 현재 공석이다. 국무회의를 진행하고 자치, 경찰, 소방, 재난·안전, 선거 등을 맡는 주요 부처임에도 이 대통령이 후보자 장관 임명을 미뤘다. 자연스레 김 전 지사에게도도 눈길이 쏠린다.
김 전 지사는 4월 더불어민주당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출마해 이 대통령과 경쟁했으나 3위에 그쳤다. 이후 이 대통령 총괄선거대책위원장과 후보 직속 국토공간혁신위원장을 맡아 새 정부 국가균형발전 밑그림을 그렸다. 이 대통령이 제시한 주요 정책에 김 전 지사 고민이 대부분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치분권·행정을 담당하는 행안부 장관 자리에 김 전 지사 이름이 거론된 배경이다. 아울러 ‘친노무현·친문재인 적자’로 분류되는 그를 중용해 통합 메시지를 낼 수도 있다.
김 전 지사는 언론과 접촉을 꺼리는 등 두문불출하며 정중동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에 애초 이 대통령이 김 전 지사에게 행안부 장관 자리를 제안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김 전 지사 측근들은 “우리에게도 제안 관련 언급이 없다”며 “제안이 왔다, 안 왔다 달리 이야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정호(더불어민주당·김해 을) 국회의원은 “최근 김 전 지사와 나눈 통화에서 행안부 장관 제안이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반면 허성무(민주당·창원 성산) 국회의원은 “신중한 김 전 지사인만큼 제안이 왔더라도 왔다고 이야기하지 않을 성품”이라면서 행안부 장관행에 무게를 실었다.
김 전 지사로서는 다양한 고민이 중첩될 수밖에 없다. 김 전 지사는 댓글 여론조작으로 대법원에서 실형을 선고 받고 수감 생활을 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사면·복권된 그가 행안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면 인사청문회에서 이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할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는 인사청문회를 ‘드루킹 사건’의 정치적 굴레를 벗어던질 기회로 보는 시각도 있다. 허성무 의원도 “진정 큰 정치인이 되려면 자신을 둘러싼 정치적 문제를 정면으로 돌파하는 기개를 보여주는 게 현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적 체급을 유지·확장하는 데는 임명직보다 선출직이 나을 수 있다. 입각하게 되면 1년도 남지 않은 내년 지방선거·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나서기 어렵다. 자신이 이 대통령 정책으로 공약화한 국가균형발전 전략들을 채 1년도 되지 않은 기간 관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대로 된 균형발전 성과 없이 1년도 안 돼 자리를 박차고 나간 장관이 유권자 지지를 끌어내기는 어렵다. 자치·분권 주무장관으로서 성과를 내려면 2~3년은 자리를 차고앉아 있어야 한다. 이에 김 전 지사가 당장 장관으로 가는 게 좋은 선택이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정호 의원은 “행안부 사무가 워낙 다양한 만큼 김 전 지사가 원하는 대로 ‘균형발전 정책’만 중점적으로 차고 나갈 여건이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참여정부 때 김두관 전 장관이 야당 견제로 얼마 못 가 낙마한 사례처럼 어쩌면 행안부 장관 자리는 ‘독이 든 성배’가 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도내 한 민주당 인사는 “하려면 3년 이상 장관직을 유지해 성과를 내고 2028년 총선에 나오는 게 맞지 않겠느냐”고 봤다. 어찌 됐든 본격화한 이재명 정부 장관 인선 속에 김 전 지사가 애매한 상황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 이재명 대통령 11개 부처 장관 인선서 엿보이는 정치적 의중
- 국정기획자문위 '자치분권·균형발전 전담 부처' 신설 나서나
- 이재명 국정기획위원회 출범…경남 국회의원·전문가 없어
- 민주당 지방권력 교체 변수는 이 대통령 1년 국정 성과
- "부울경 메가시티로 경남에 활력을" 민주당 경남 8대 공약 제시
- 김경수 "서부경남KTX 민주당이 초석, 조기 개통도 이끌 것"
- 거대 양당 '지역이 주도하는' 균형발전 정책 방향 이어간다
- 김경수 전 경남지사 지방시대위원장에…'균형발전' 정책 총괄
- '분권·균형발전' 측면 이재명 내각·장관급 인선 "일단 긍정적"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