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누리소통망에 글 올려 의사 밝혀
탄핵 절차 돌입과 내각 총사퇴도 주문
독일 베를린에서 ‘불법 비상계엄 사태’를 접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귀국 의사를 밝히며 국회 탄핵 절차 돌입·내각 총사퇴와 함께 ‘위기 관리 중립내각’ 구성을 요구했다.
김 전 지사는 4일 자신의 누리소통망에 올린 글에서 “어제와 오늘, 계엄선포에서 해제까지 애타는 6시간을 보내며 참으로 참담했다. 대한민국을 더는 나락으로 빠지게 둬서는 안 된다”며 “대통령에게 헌법적 책임을 엄중하게 묻고 처리할 탄핵 절차가 마땅치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들의 자진 사퇴 요구는 대통령 스스로 자초한 일이나 더 중요한 건 국정마비를 최소화하고 대한민국호가 더는 표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면서 “먼저 이번 사태 책임을 지고 내각이 총사퇴하는 게 순리”라고 강조했다.
여야 정치권을 향해서는 “정쟁을 할 상황이 아니라 지금은 국회가 나서서 국정 중심을 잡아야 한다”면서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위기 관리 중립내각’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렇지 않으면 국정마비 공백을 메울 도리가 없다”고도 했다.
김 전 지사는 추가적인 군부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그는 “이번 사태를 촉발한 군 일각에서 어려움을 모면하고자 국지전과 같은 의도적인 군사충돌 상황이나 준전시 상황을 유발하지 않을까하는 걱정이 든다”면서 “계엄을 건의한 국방부 장관은 탄핵으로 시급히 직무를 정지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애초 미국 싱크탱크 초청으로 미국 방문 일정이 예정돼 있지만 모두 취소하고 급히 귀국길에 오른다”며 “국민과 함께 대한민국을 지키는 깨어있는 시민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 불법 비상계엄 사태 파장 경남 일선 시군으로 확산
- 비상계엄 해제 요구 표결 불참 경남 국회의원 13명 뭐했나?
- 계엄 사태로 대외 불확실성 커져 수출 기업들 우려
- "윤석열은 대통령이 아니다" 민변 경남지부도 퇴진 요구
- 불법 비상계엄 사태, 금융시장에도 큰 충격파
- 윤석열 대통령 불법 비상계엄, 반전 대신 탄핵 정국 맞아
- 불법 비상계엄 사태 파장 경남 일선 시군으로 확산
- 경남도 비상계엄 영향 경남경제 관계기관 회의
- 창원시 "행정 업무 만전"...시의회 "정례회 차질 없게"
- 교육감 "비상계엄 일단락...모든 학교 동요 없이 정상운영"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령에 경남 시민사회 "대통령 체포하라"
- 정치적 보폭 넓히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복당 신청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