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지위-사업회 "왜 세금 들이냐"-"고향의 봄 브랜드화" 설전

"왜 이원수 기념사업에 시민 혈세를 씁니까?"

"이원수 선생이 아니라 '고향의 봄'을 브랜드화하자는 것입니다!"

'친일작가 이원수 기념사업저지 창원시민대책위'(이하 시민대책위)와 '이원수 탄생100주년 기념사업회'(이하 기념사업회)가 창원시 차원의 이원수 기념사업에 대해 각각 내세우는 논리다.

이는 지난 3일 기념사업회가 '논란에 대한 입장'과 '관련 언론보도 자료' 등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이에 대해 시민대책위가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7일 오전 반박 기자회견을 하면서 압축된 양측의 주장이다.

우선, (사)고향의봄기념사업회(회장 김일태)가 주축이 되고, 경남대 박재규 총장과 박완수 시장, 최충경 창원상의 회장 등이 참여한 기념사업회 측은 지난 3일 보도자료에서 "우리는 이원수 선생을 창원시의 대표 브랜드로 만드는 게 아니라, 민족의 노래인 '고향의 봄'을 브랜드화하는 사업들을 추진해왔다"고 강조했다. "친일 시 문제에 대한 공론화를 거쳐 이원수문학관을 개관했고, 그의 문학적 업적과 함께 친일행적 자료를 공개 전시하는 등 역사적 사실을 일깨우려 했다"는 점도 덧붙였다.

기념사업회는 "새삼, 처음 친일 행적이 발견된 것처럼 원점에서 재논의하자는 논지는 부적절하다"며 "(사업회가)그 논쟁에서 적극적으로 해명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10년간 진행해온 사업 자체를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고, 이는 지금까지 기념사업에 동의하고 성원을 아끼지 않았던 시민 전체를 기만하고 시민들의 대의기구인 창원시의회의 결정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는 창원시가 관련 사업에 연간 5000만~8000만 원의 예산과 올해 예정된 이원수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에 2억 원 이상의 예산을 지원하는 점에 대한 기념사업회 측 논리이기도 했다.

친일 행적을 보인 작가 이원수 기념사업 저지 창원시민대책위 소속 회원들이 7일 오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념사업회 입장에 대한 반박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sajin@

반면, 열린사회희망연대 등 창원시내 21개 단체가 포함된 시민대책위는 7일 기자회견에서 "국가나 지자체가 세금으로 누구를 기념한다는 것은 신중하게 따져보아야 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더구나 기념관이나 문학상, 흉상 제작, 도시 브랜드화와 같은 항구적 기념사업을 할 때는 누구라도 그의 공적이나 업적뿐만 아니라 다른 흠결은 없는지 따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이원수의 흠결은 일제강점기에 친일 작품을 썼다는 것이다. 그것도 판단 능력이 없는 식민지 조선의 어린이들이 일제의 병정이 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도록 한 내용"이라며 "우리는 그의 문학적 업적을 폄훼하는 것이 아니다. '지원병을 보내며'처럼 친일 행적이 분명한 그를 공적기관에서 세금을 들여 기념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이들은 앞으로 2주간 창원시청과 시의회 등에서 기념사업 반대 1인 시위를 벌이고,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정우상가 등지에서 관련 캠페인과 시민 서명운동을 벌이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