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관련 해석 두고 시각차…"밀어붙이기 안 돼" 주장도

친일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서는 시각차가 뚜렷했지만, 기념사업을 하고자 한다면 '사회적 합의 과정은 필수'라는 공감은 이뤄졌다. 또 생산적인 토론을 위해 창원시가 기념사업을 밀어붙이기식으로 추진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2일 오후 11시 25분 창원MBC 토론 프로그램 <대찬토크 말쌈>에서 김영만 4월 혁명 발원지 문화재지정 추진위원장은 "지난달 26일 이원수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 재정지원을 중단하라는 기자회견을 했다"면서 "이원수 선생의 문학성, 아동문학의 업적을 깎아내리려는 것도, '고향의 봄'을 금지곡으로 하자는 것도 아니며, 명백하게 일제강점기 때 친일작품을 쓴 작가에게 시민 혈세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이었다"고 말했다.

   
 

윤해동 교수는 "이원수 선생 같은 작가를 위해 100주년 기념사업 하는데, 공공비용 투입을 하면 안 된다는 결론이 내려진다면 안타까울 것 같다"며 "결정은 창원시민의 몫"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한용 연구실장은 "이원수 선생이 일제강점기 때 함안금융조합에 근무하면서 조선금융조합연합회 기관지 <반도의 빛>에 시 등을 5편 실었는데, '아동들에게 전쟁에 나가 일본을 위해 싸워라'는 등 내용이 매우 심각하다"면서 "따라서 (이원수의 친일문제는) 창원시민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사회 역사의식과 함께 가야 하는 문제"라고 반박했다.

윤 교수는 "민족문제연구소가 이원수 선생을 친일작가라고 분류하고 판단한 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시민의 판단에서 보자면 하나의 기준일 뿐"이라며 "오늘 토론의 핵심은 시에서 예산을 지원하는 게 타당한지를 따지는 것"이라고 재반박했다.

김 위원장은 "일부에서 이원수 선생이 수천 편 가운데 친일 작품은 불과 5편밖에 안 된다는 점을 이야기하는데, 그렇다면 수돗물 1000t 에 5ℓ의 독극물이 들어간 사실을 시민들이 알면 가만히 있겠느냐?"면서 친일문제 평가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반면, 윤 교수는 "공과의 구분은 도덕적 선악이나 진리, 진실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실장은 또 이원수의 친일 글과 관련해 일제강점기 이후에라도 용기 있게 발언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고, 윤 교수도 이원수를 비롯해 많은 작가가 '전쟁협력 작품'을 썼는데, 한국 근대문학이 복합적인 만큼 일부만 떼어내어 나쁘다고 평가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이번 문제가 창원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슬기롭게 해결되기를 진정으로 기대한다"면서 "다만 합의 과정에서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라는 사실을, 정의나 민주주의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1911년 11월 출생해 1981년 1월 24일 별세한 이원수 탄생 100주년에 즈음해 지난 1월 24일 기념사업 선포식과 흉상 제막식이 창원시 의창구 팔룡동 고향의 봄 도서관에서 열렸으며, 오는 4월에는 학술세미나와 '고향의 봄 어린이잔치', 10월 '이원수문학상 제정 및 시상'과 기념집 <겨울나무의 노래> 발간 등으로 이어진다. 창원시는 전체 사업비의 90% 이상인 2억여 원을 후원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