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친일 논란 속 100주년 사업비 대부분 후원
'고향의 봄'의 작가 이원수는 창원의 도시 브랜드로 적절한가.
24일 열린 이원수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 선포식에서 박완수 창원시장은 "이원수 선생과 '고향의 봄'이 통합시의 브랜드로서, 창원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후 옮겨갈 39사단 자리에 '고향의 봄 공원'을 조성할 계획도 언급했다. 창원시 차원의 이원수 기념사업은 미래형이 아니라,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
이날 기념식과 흉상 제막식 예산은 대부분인 3500만 원을 시가 지원했다. 이어 진행될 학술세미나와 어린이잔치, 이원수문학상 제정과 시상 등 전체 사업비의 90% 이상인 2억여 원을 창원시가 후원한다.
뿐만 아니다. 지난 2003년 문을 연 고향의 봄 도서관 내 이원수문학관 운영비 5800만 원과 매년 반복되는 고향의 봄 문학기행과 독서교실, 기념공연 등 상시적 행사 경비도 대부분 창원시가 대고 있다.
이처럼 작가 이원수를 시 차원에서 기념하는 사업은 이미 진행돼왔다.
하지만, 이후 작가 이원수를 통합 창원시의 브랜드로 격상하는 문제는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르다. 알려져 있듯 이원수 문제의 본질은 그의 '친일 행적'이다.
지난 2009년 민족문제연구소와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는 8년간 조사한 끝에 이원수를 포함한 4389명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하고, 이를 전3권의 〈친일인명사전〉에 등재했다. 근거는 이원수가 일제강점기 때 썼던 '지원병을 보내며', '보리밧헤서-젊은 농부의 노래' 등의 친일 작품이었다.
이를 의식한듯, 24일 기념식을 진행한 정일근 시인은 "선생의 친일 문제는 대하로 흘러가는 하나의 작은 물방울"이라고 비유했다.
또, (사)고향의봄추모사업회 김일태 회장은 "'이원수문학상'이라고 명칭을 확정한 것은 아니"라고도 했다. "명칭과 세부 부문은 유족들과의 협의를 거쳐 이후 결정하겠다"고 했다.
논란을 직접 겪은 분의 신중한 표현이긴 하지만, 이날 여러 자료에서 '이원수문학상'은 이미 인쇄돼 배포됐다. 관련 예산으로 4000만 원의 시비가 들어간다는 만큼, 명칭에 대해 정확히 시비를 가리는 일이 우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원수의 친일행적 비판은 어느새 칼끝이 무뎌진 듯하다. 지역 문학계 인사들도 관련 언급을 피할 정도였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통합시의 가치를 높이는 브랜드로서 '이원수'가 날개를 달 것인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