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금체불로 촉발된 시민버스 운행거부 사태가 사태발생 60일을 넘어서고 있다. 100명이 넘는 노동자와 그 가족들의 삶은 갈수록 피폐해지고 있다. 사측에 대한 불신은 차지하고서라도 회사 정상화를 두고 노동조합의 주장에 동의하지 못하겠다며 또 다른 비상대책위가 생기는 등 노노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노동자들의 요구는 간단하다. 임금 하나 챙겨주지 못하는 추한식 회장과는 앞으로 같이 못 하겠다는 것이고, 제3자가 인수하거나 차라리 자율기업(자주관리기업)으로 가겠다는 거다.
현재 시민버스 노동조합 비상대책위를 중심으로 자율기업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진주를 비롯해 먼저 자주관리를 시행하고 있는 버스업체를 견학하는 등 작업이 구체화되고 있다.
일은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더 열정적이기 마련이다. 노동자들이라고 경영을 모를까. 118명의 시민버스 노동자가 힘과 지혜를 모은다면, 적어도 추한식 회장처럼 노동부에 회계장부와 관련된 자료 제출 요구에 불응하거나 부도나기 전 재산을 빼돌리기 식의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투명경영을 실현해 다시 반듯하게 시민버스를 세우면 될 일이다.
시민의 안전이라는 측면에서도 시민버스가 다시 튼튼한 버스회사로 되살아나야 한다. 임금 체불로 말미암아 미래에 대한 불안이 쌓이게 되면 안전 운전에 위협요소로 작용할 것이고,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도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큰일을 치르려면 노동자 내부의 단결이 먼저다. 현 노조집행부와 비대위가 '와서 모여 뭉쳐 하나'가 되어도 시원치 않은 판에 둘로 쪼개져 있으니 안타깝다. '노노 갈등'이 이어져서는 안 된다. 단결하는 시민버스 노동자의 모습을 보고 싶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 창원지법서 시민버스 회생 신청 심문
- "시민버스 사태 마산시 뭐하나" 확산
- 추한식 대표이사 구속적부심 기각
- 시민버스 추한식 대표 노동자 임금 상습체불 혐의 구속
- 상습 임금체불 혐의 시민버스 추한식 대표이사 구속
- "운전대에 청춘 바치고 남은건 체불임금"
- 시름도 싹 태워버렸으면…
- 마산 시민버스 회생절차 개시
- 시민버스 노동자 회생 거부 재확인
- 마산 시민버스 면허 결국 취소
- 사원주주 창원 시민버스 탄생하나
- 추한식 전 시민버스 회장 보석 신청
- 추한식 시민버스 회장 보석신청 기각
- 창원시, 시민버스 새 주인 찾기 나섰다
- "창원 시민버스 면허에 생존권"
- '임금체불' 추한식 전 시민버스 대표 집유
- 추한식 시민버스 전 대표 집행유예
민병욱 기자
min@idomin.com
2024년 7월 8일부터 논설여론부장(후원회원 및 대외협력 담당) 맡고 있습니다. 010-5159-9102.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