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 육묘·축산 분야 대상
모종·모판흙·사료 등 공급
재해보험 사각지대도 보완
제도 개선 정부에 지속 건의
경남도는 7월 중순 기록적인 폭우로 큰 피해를 본 농가가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예비비 33억 4000만 원을 긴급 지원한다.
특히 딸기 주산지인 산청·하동지역 육묘 피해 농가에 모종과 상토(모판흙)를 지원하고, 축산 농가에는 면역증강제·보조사료 등 필수 자재를 공급한다.
7월 17~19일 경남 서부 내륙을 중심으로 누적 강수량 300~800㎜ 폭우가 내려 딸기 주산지 육묘시설이 침수됐고, 어린 모종과 상토가 대량 유실·폐기됐다. 딸기 육묘 피해는 산청·하동지역 전체 재배 물량 27.8%로 추정된다.
더구나 딸기 육묘는 농작물 재해보험 품목에 포함돼 있지 않고, 농업재해 발생 때 자연재난 복구비 지원 대상에서도 빠져 있었다. 이에 박완수 도지사도 정부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경남도는 7월 말 현장 조사를 거쳐 모종 부족분 600만 주를 사천·하동·함양 등 인근 지역에서 확보했다. 이후 긴급 예비비 23억 7000만 원을 들여 △정식용 딸기 모종 580만 포기 △상토 23만 포를 피해 농가에 공급하고 있다.
축산 분야에서도 축사 침수와 사료 유실, 가축 폐사 등으로 한우 127마리, 돼지 200마리, 닭 8만 6000여 마리, 양봉 1만 5000여 군 등 26만 마리가 큰 피해를 봤다. 피해액은 64억 원 규모로 추산된다.
이에 경남도는 예비비 9억 7000만 원을 들여 '가축재해보험'과 '자연재난 복구비용 산정 기준'에서 제외돼 있던 △면역증강제 △보조사료 △사일리지(작물을 베어 저장탑이나 깊은 구덩이에 넣고 젖산을 발효시켜 만든 사료)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은 "딸기는 경남을 대표하는 고소득 작목으로, 이번 피해를 그대로 두면 농가 생계는 물론 지역 경제에도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예비비로 제도적 사각지대에 있는 피해 농·축산인에게 신속히 복구비를 지급하겠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피해 농작물·시설하우스 국비 지원율 상향 △복구 단가 현실화 △딸기 육묘 농작물 재해보험 품목 포함 △딸기 육묘 포기 수를 반영한 복구 단가 신설 등 제도 개선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지난달 폭우로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기준 경남지역 15개 시군 농·축산 분야에서는 1640억 원 규모 피해가 난 것으로 집계됐다. 농작물 침수 3009㏊, 농경지 유실·매몰 941㏊, 농림시설(비닐하우스·부대시설·각종 설비 등) 8331건, 저수지와 양·배수장 등 농업기반시설 270건, 가축 폐사 26만 마리, 축사시설·설비 192건 등이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