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권질병대응센터 ‘2025년 손상 포럼’
센터급 기관 동부 집중·서부 접근성 취약
중증외상률 서부 0.68%·동부 0.34% ‘2배’
“서부권 접근성 강화·인력 재배치 등 시급”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9일째인 11월 14일 발전소 현장에서 중장비를 동원한 수색 작업이 밤낮없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구조대원 등 구조팀 관계자들이 수색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경남, 울산, 부산은 제조업과 항만·물류 중심 산업 구조, 빠른 인구 고령화 등으로 낙상이나 산업재해 등 다양한 손상 위험이 있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9일째인 11월 14일 발전소 현장에서 중장비를 동원한 수색 작업이 밤낮없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구조대원 등 구조팀 관계자들이 수색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경남, 울산, 부산은 제조업과 항만·물류 중심 산업 구조, 빠른 인구 고령화 등으로 낙상이나 산업재해 등 다양한 손상 위험이 있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경남이 각종 사고와 재해 등으로 사회경제적 손실까지 발생할 위험이 큰 환경이지만 응급의료 체계는 동서 지역 불균형이 심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질병관리청 경남권질병대응센터는 25일 부산시티호텔에서 ‘2025년 경남권 손상 포럼’을 열었다.

‘손상’은 사고, 재해, 중독 등 외부 위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상 문제 또는 후유증을 말한다. 이는 개인 불행에 그치지 않고 사회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센터는 경남권역 또한 제조업과 항만·물류 중심 산업 구조, 빠른 인구 고령화 등으로 낙상이나 산업재해 등 다양한 손상 위험이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올 9월에는 질병관리청이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2026∼2030)을 수립했다.

이날 김근태 경상국립대 의과대학 교수는 ‘경상남도 손상 현황과 미래’를 발표했다. 2023~2025년 경남지역 질병 현황을 보면 교통사고, 추락, 중독, 익사, 넘어짐, 가정이나 직장 안전사고 등을 포함한 비의도적 사고는 11만 2136명으로 17.4% 비중이다. 동서 주요 도시별 비의도적 사고 비중을 보면 진주가 22.3%(3만 2056명)로 창원 16.9%(5만 9031명), 김해 13.9%(2만 1118명)보다 높았다.

김 교수는 “센터급 응급의료기관은 김해 1곳, 양산 1곳, 창원 5곳, 진주3곳으로 도시 중심으로 편중돼 있는데 동부경남 7곳과 서부경남 3곳”이라면서 “경남은 동부 집중형과 서부 취약형의 이중 구조”라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경남의 손상과 응급의료 불균형은 자원의 부족이 아니라 공간적 불균형의 문제”라며 “서부권 접근성 강화와 인력 재배치 지역응급 의료 형평성 회복이 과제”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중증외상률은 서부권 0.68%, 동부권 0.34%로 약 2배 차이가 났다”며 “주요 원인은 농업·산업형 손상, 고령 낙상, 교통사고 중심이다. 의료 접근성은 낮고 고령화는 계속되고 이송 거리는 늘어나는 복합적 위험 구조”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통영·거창권 의료이용 자급률은 40~46%로 절반 이상이 외부로 유출하고 있다”며 “진주권 단일 거점에 집중돼 과부하도 심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진주권은 입원 등으로 창원·김해·순천·부산중부권으로 유출하는 비율이 1~2% 수준에 그쳤지만, 통영권은 진주권(46.16%), 창원권(17.96%) 등으로 유출 비율이 높았다.

이에 김 교수는 “의료자원 분포 불균형 문제”라며 “내과·외과 전문의는 진주·창원에 집중돼 있고, 통영·거창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질병관리청과 중앙손상관리센터(고대안암병원), 손상조사감시사업 관련 민간 전문가, 각 시도 손상업무 담당자 등이 참여했다.

/이동욱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