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합천군 피해액 전체 84% 차지
하천·산사태·도로 등 공공시설 중심
도, 재해 예방형 종합·개선 복구 추진

지난달 극한호우로 경남지역 재산피해가 정부 합동조사를 거쳐 5177억 원 규모로 최종 집계됐다. 복구비는 1조 1947억 원으로 확정됐으며 경남도는 이 중 국비 9771억 원을 확보했다.

이번 자연재난 복구비는 2002년 태풍 '루사'(1조 9000억 원)와 2003년 태풍 '매미'(3조 2000억 원) 이후 22년 만에 최대 규모다. 경남도는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복구와 재해 재발 방지에 힘을 쏟기로 했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7월 집중호우 피해 현황과 복구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경남도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1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7월 집중호우 피해 현황과 복구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경남도

◇산청·합천, 전체 피해 84% = 7월 16~20일 산청군 단성면에 시간당 101㎜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고, 경남 서부 내륙권을 중심으로 300~800㎜가량 집중호우가 내렸다.

공공시설 피해는 △하천 300건 △도로 295건 △산사태 225건 등 모두 2602건(피해액 3446억 원), 사유시설 피해는 △주택 1415동 △농경지 유실·매몰 941㏊ △가축 피해 26만 마리 등 모두 1만 6086건(피해액 1731억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공공시설 중 피해 규모는 하천(1014억 원)이 가장 컸으며 산사태(687억 원), 도로(406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복구비(1조 1947억 원) 중 공공시설 복구비가 91.7%(1조 950억 원)다. 경남도는 원상회복을 넘어 재해 재발을 막는 지구단위 종합 복구와 구조적 개선 복구를 병행한다. 산청 생비량면 상능마을 지구단위 종합 복구 1곳과 지방하천 16곳을 포함한 21개 지구에서는 중장기 종합 복구계획(5130억 원 투입)이 추진된다. 중요 시설과 기능 복원은 내년 우기 전까지 완료할 수 있지만 지질이나 환경에 따라 최종 복구까지는 공사 기간이 더 길어질 전망이다.

시군별로 보면 산청과 합천이 전체 피해액 84.1% 비중이다. 산청(3271억 원)이 63.2%, 합천(1084억 원)이 20.9%를 각각 차지했다. 하동(232억 원), 진주(153억 원), 의령(134억 원), 함양(117억 원), 밀양(64억 원), 거창(51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8개 시군 모두 특별재난지역에 포함됐다.

양천과 호계천 등 지방하천 16곳에서는 하천 폭 확장, 제방 보강 등 구조적 보완(4273억 원 투입)이 진행된다. 이 역시 단순 복구를 넘어 침수 예방 효과를 높이는 것이 목표다. 일례로 양천은 둑 쌓기·보축(7.8㎞), 교량(10곳), 보·낙차공(10개) 등 개선 복구에 450억 원을 투입한다.

산사태 복구에는 959억 원을 투입한다. 사방댐 설치, 사면 안정화 등으로 재해 예방형 복구를 추진한다.

 

◇시설하우스 복구 더뎌 = 이번 폭우로 14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다. 중상자는 4명이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19일 브리핑에서 "실종자 수색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장기간 지속해 한계에 맞닥뜨린 것이 사실"이라며 "유가족과 협의하며 대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박 부지사는 "도로·전기·상하수도·하천 등 공공시설 응급복구와 침수된 주택 복구는 거의 마무리됐지만 전파·반파 주택은 주거할 수 없고 신축·보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침수 피해로 집으로 못 돌아간 사례가 있는지 세심히 살펴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임시 시설 등에서 거주하는 주민은 도내 154가구 267명이다. 이 중 산청은 121가구 194명이다.

집중호우 피해 주민들에게 전달되는 재난지원금은 총 997억 원이다. 기존 정부 기준보다 강화됐고, 3월 산불 때와 같은 수준이다.

전파 주택에는 정부 지원금(2200만~3900만 원)에 위로금(6000만 원)을 추가해 8200만~9900만 원을 지원한다. 반파 주택에는 정부 지원금(1100만~2000만 원)에 위로금(3000만 원)을 추가해 4100만~5000만 원을 지원한다. 풍수해보험 가입자는 보험금 말고도 3200만 원(전파 주택)을 별도로 지원받는다.

침수 주택에는 기존 도배·장판 보상 이외에 가전제품·가재도구 피해 보상까지 포함해 지원금(350만 → 700만 원)을 2배로 확대한다.

8일 산청군 신안면 하정마을 한 메론 하우스에서 지역공동체 관계자, 개인 자원봉사자들이 수해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안지산 기자
8월 8일 산청군 신안면 하정마을 한 멜론 하우스에서 지역공동체 관계자와 개인 자원봉사자들이 수해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안지산 기자

수박·오이·딸기·고추·방울토마토·쪽파·멜론·애호박·대파·사과 등 10개 농작물과 떫은감·고사리·약용류·조경수·잔디·약초류·표고자목(표고버섯 재배용 참나무류 원목)·표고배지(배양 기판) 등 8개 산림작물 피해가 컸다. 경남도는 지원 단가를 실거래가 수준으로 올리고, 지원율은 50%에서 100%로 상향했다. 아울러 폐사한 가축·수산물 입식비 지원율도 50%에서 100%로 올렸다.

농경지도 유실·매몰 부분 응급복구를 마쳤지만, 시설하우스 복구가 더딘 상황이다.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은 "하우스 피해 시설이 많아 농업시설 복구율이 54%로 낮은 편이지만, 속도를 내기보다 토지를 훼손하지 않고 다른 작물이라도 심을 수 있도록 농가에서 원하는 방향에 맞춰 복구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이 산청 산사태 인명피해 지역 7곳을 조사한 결과는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산사태 원인과 복구 방안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