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종합건설 25곳·전문공사 100곳 폐업 신고
'사업포기', '회사도산' 사유…지난해보다 늘어나

올해 굵직한 중견건설사 기업회생절차 신청 증가
도내 시공능력평가 2위 대저건설 회생계획 마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기 침체·미분양 증가 진단
"단기적인 경기 변동 넘어 구조적 위기 국면에 진입"

경남지역 건설업체가 줄줄이 문을 닫고 있다. 30일 기준 도내 종합건설기업사 25곳, 전문공사기업 100곳이 폐업 신고를 했다.

경기 침체를 넘어선 구조적 위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중견건설사들도 부도를 내고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을 정도다.

창원 같은 경우 대형 신축 공사는 성산구 대동백화점 앞 창원센트럴 아이파크(사진) 등 몇몇에 지나지 않는다. /경남도민일보DB
창원 같은 경우 대형 신축 공사는 성산구 대동백화점 앞 창원센트럴 아이파크(사진) 등 몇몇에 지나지 않는다. /경남도민일보DB

◇경남 종합건설사 폐업 두 배 증가 = 지난해 전국 종합건설업 폐업 건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총 641건으로 2005년 조사 이후 가장 많았다.

2009년 500건, 2010년 554건 등 2012년까지 500건을 조금 넘었던 종합건설사 폐업은 2013년부터 400건 아래로 줄더니 2017년 239건으로 최저점을 찍었다. 이후 2022년까지 200~300건 수준을 보이다가 2023년 581건으로 급증했고 지난해 600건을 넘었다.

올해 종합건설업 폐업 신고(6월 19일 기준)도 304건이나 된다. 폐업 이유는 ‘사업포기’가 82.2%(250건)를 차지했고, ‘회사도산’ 2.6%(8건)과 ‘경영약화’ 1.6%(5건) 등을 포함하면 경기 침체 여파가 87%에 이른다.

경남 사정도 심각하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공고(30일 기준)한 경남 종합공사업 폐업 건수는 25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13건)보다 배 가까이 늘었고, 지난해 폐업 신고(30건)의 83%를 차지해 하반기에 더 증가할 수도 있다.

폐업한 도내 종합건설사 25곳 가운데 88%(22건)가 ‘사업포기’를 사유로 밝혔다. 2곳은 ‘회사도산’이었다. 올해 1월 도산 신고를 한 시온건설개발(본사 거제)은 자회사 시온토건, 주호건설, 서영개발 등을 두고 임대주택 사업을 벌여왔다. 춘천 시온 숲속의 아침뷰, 울산 서영 숲속의 아침뷰 등이 주요 사업장이다.

전국 종합건설기업 폐업 공고(6월 19일 기준) 건수 변화 추이.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전국 종합건설기업 폐업 공고(6월 19일 기준) 건수 변화 추이.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종합건설사가 문을 닫으면서 도장·지반조성·조경·실내건축 등 전문공사업체 타격으로 이어진다.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30일 기준)에서 확인한 경남 전문공사업 폐업 건수는 100건으로 종합공사업보다 4배 가까이 많다.

대한전문건설협회 경남도회 관계자는 “건설경기 침체를 가장 실감하는 업종”이라고 말했다. 경남지역 전문건설업체 하도급 노무비율(2024년 기준)은 19.65%로 전북(19.43%)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다. 민간 건설사업이 축소돼 신규 착공이 감소하면서 인력 수요가 줄어 노무비 비중이 줄었다.

◇경기 침체를 넘어서는 위기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건설경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미분양 증가 등을 건설사 폐업 증가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건설경기는 단기적인 경기 변동을 넘어 구조적 위기 국면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국내 굵직한 건설기업은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다. 9건(5월 기준)이 진행 중인데, 신동아건설(시공능력평가 58위)과 삼부토건(71위), 대흥건설(96위), 대저건설(103위) 등 시공능력평가 50~200위권 내 중견건설기업 회생절차 신청이 증가했다.

도내 전문건설업체는 지난달 18일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창원 호텔에서 열린 '대·중소 건설업 상생협력을 위한 2025년 건설대기업 초청 상담회'에서 대기업과 협력업체 등록 관련 상담을 하고 있다. /경남도민일보DB
도내 전문건설업체는 지난달 18일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창원 호텔에서 열린 '대·중소 건설업 상생협력을 위한 2025년 건설대기업 초청 상담회'에서 대기업과 협력업체 등록 관련 상담을 하고 있다. /경남도민일보DB

도내 시공능력평가 2위인 대저건설은 9월 24일까지 법원에 회생계획안을 내야 한다. 대저건설은 금융시장 경색,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내외적 복합 위기가 지속하면서 단기 유동성 부족으로 정상적인 경영활동 지속이 어려운 상황에 부딪혀 지난 1월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건설산업연구원은 기업회생절차로 회사를 정상화하는데 8~10년 정도 걸리는 만큼 건설경기 침체는 중견건설업 재기에 악영향이라고 밝혔다.

대저건설 감사보고서에도 이러한 우려가 나온다. 감사보고서에는 “2024년 12월 31일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274억 원 초과해 당기 중 자본 잠식이 발생했다”며 “회사가 계속기업으로서 존속할지는 회생계획 제출과 부산회생법원 인가 여부에 따라 좌우되는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나와 있다.

도내 중견건설사 남명건설은 지난 5월 회생계획안 인가결정을 받았다. 최근에는 보유한 종합건설업 가운데 산업·환경설비공사업을 포기했다.

/이미지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