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6112억·사유 721억 원
공공시설 응급복구율 61.5%

28일 산청군 산청읍 정곡리 폭우 피해 현장에서 군인들이 청소 등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28일 산청군 산청읍 정곡리 폭우 피해 현장에서 군인들이 청소 등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16~19일 집중호우로 경남지역 전체 재산피해가 6833억 원 규모(2만 9281건)로 잠정 집계됐다. 경남도와 18개 시군이 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에 입력한 28일 오후 3시 기준 현황이다. 공공시설 피해 물량 입력은 27일 마무리됐고, 사유시설 피해 물량 입력은 30일까지다.

공공시설 피해는 3159건 6112억 원 규모로 파악됐다. 종류별 피해 금액은 하천(335건·2093억 원)이 가장 크고 산사태(리 단위·396건·853억 원), 소규모 공공시설(475건·769억 원), 도로(329건·512억 원), 수리시설(농업 기반 포함·324건·359억 원), 상하수도(41건·41억 원), 체육시설(14건·34억 원), 문화유산(10건·15억 원), 기타(1352건·1436억 원) 순이다.

이 중 기타 건수를 제외하고 공공시설 응급복구율은 61.5%(1185건)다. 종류별로는 도로 93.0%, 상하수도 92.7%, 소규모 공공시설 43.7%, 산사태 39.5%, 하천 38.2%, 체육시설 35.7%, 수리시설(농업 기반 포함) 28.4%, 문화유산 20.0%다.

사유시설 피해는 2만 6122건(721억 원)으로 파악됐다. 이 중 주택은 1184건(170억 원)이다. 침수 971건(33억 원), 모두 파손 122건(99억 원), 절반 파손 89건(38억 원)이다.

가축 171건(18만 7172마리·14억 원), 양식장 3건(1억 원), 농경지 6510건(230억 원) 등 농수축산 피해도 잠정 집계됐다.

시군별 피해 금액으로는 산청이 1만 565건 4184억 원 규모(공공 1026건·3800억, 사유 9539건·384억 원)로 가장 크다. 도내 전체 재산피해 61.2% 규모를 차지한다.

합천이 9941건 1732억 원 규모(공공 1003건·1554억, 사유 8938건·178억 원)로 뒤를 이었다. 아울러 하동 1560건·242억 원, 진주 2184건·190억 원, 의령 1717건·168억 원, 함양 823건·116억 원, 거창 203건·55억 원, 밀양 564건·36억 원 등 순이다.

도내 정전됐던 8408가구는 복구가 완료됐다. 다만 마을에서 떨어진 산청 단성면·삼장면 단독 2가구는 도로·전신주와 함께 복구가 진행 중이다.

상수도 공공시설 17곳 모두 복구됐고, 이주를 검토 중인 생비량면 상능마을(32가구)을 제외하고 산청 지방상수도 공급은 정상화한 상태다. 급수량이 부족한 지역을 위해 급수차 61대가 현장에 배치돼 있다.

전화·인터넷 1만 1698회선 중 1만 1683회선(99.9%), 이동통신 중계기 1544곳 중 1526곳(98.8%)이 복구됐다.

이번 기습적인 폭우로 13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다. 중상자는 5명으로 파악됐다. 남은 실종자는 지난 19일 오후 급류에 휩쓸린 것으로 추정되는 신등면 율현리 80대 남성이다.

도내 6170가구 8039명이 대피했었고, 7개 시군 288가구 463명이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임시 대피시설 등에서 생활하고 있다. 산청 293명, 합천 80명, 의령 72명, 진주 9명, 밀양 6명, 하동 2명, 함안 1명이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