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산청군 산청읍 정곡리 폭우 피해 현장에서 한 주민이 물과 토사가 밀려와 잠겼던 집을 힘없이 바라보고 있다. /김구연 기자
24일 산청군 산청읍 정곡리 폭우 피해 현장에서 한 주민이 물과 토사가 밀려와 잠겼던 집을 힘없이 바라보고 있다. /김구연 기자

극한호우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한 산청군을 비롯한 경남지역 주민들의 생활필수품이 부족해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24일 오후 행정안전부 주재로 열린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회의'에 영상으로 참석해 도내 시군이 겪는 수습·복구 어려움을 설명하고 일상 회복을 위한 복구 대책 마련을 건의했다.

일부 시군에서는 인력·장비·재원 부족 등으로 복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박 부지사는 "단순한 응급 복구와 인프라 정비를 넘어 침수로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이 생활 기반을 복원할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생활필수품 중심 긴급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수해 가구를 대상으로 가전제품 무상수리는 지원되고 있으나 가구·식기·침구류 등 생활필수품은 지원 항목에서 빠져 있어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이 더딘 상황이다.

경남도는 △응급 복구비·장비 임차비 등 현장 중심 신속 대응을 위한 특별교부세 추가 지원 △피해 조사를 위한 전문조사단 지원 △주택 복구 기준 상향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특히 정확한 피해 규모 산정과 복구계획 수립을 위해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입력 기한 조정도 요청했다.

이번 극한호우로 13명이 숨졌고 1명이 실종된 상황이다. 다친 3명은 모두 퇴원했으며, 앞으로 보상 지원을 위해 자세한 조사 과정을 거치면 부상 주민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남은 실종자는 급류에 휩쓸렸을 것으로 추정되는 산청 신등면 율현리 80대 남성이다.

폭우로 대피했던 도내 주민 가운데 397가구 603명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산청 411명, 의령 88명, 합천 71명, 하동 20명, 밀양 7명, 진주 4명, 함안 2명이다.

도내 공공시설 1263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도로 297곳, 하천 129곳, 상하수도 35곳, 수리시설 24곳, 소규모 공공시설 78곳, 산사태 410곳, 문화유산 29곳, 농업 기반 249곳, 체육시설 12곳이다.

이 가운데 587곳(복구율 46.5%)이 응급 복구를 마쳤다. 구체적으로 도로 281곳(94.6%), 하천 72곳(55.8%), 상하수도 16곳(37.1%), 수리시설 2곳(8.3%), 소규모 공공시설 26곳(33.3%), 산사태 139곳(33.9%), 문화유산 9곳(8.3%), 농업 기반 39곳(15.6%), 체육시설 3곳(27.3%)이다.

주택은 948건이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침수 782건, 모두 파손 142건, 절반가량 파손 24건이다.

산청읍과 신안면·생비량면 일부 마을 380가구에 수돗물이 공급되지 않고 있어 생수 배부와 급수차 17대 배치가 이뤄졌다. 이동통신 중계기는 1543곳 가운데 1492곳(96.7%)이 먹통 문제를 해결했다.

지금까지 1만 747명이 도내 수해 현장에서 땀을 흘렸다. 공무원 6650명, 주민 1189명, 자원봉사자 등 기타 2908명이다.

굴착기 1892대, 덤프차 754대, 살수차 234대 등 장비 2354대가 현장에 투입됐다. 소방·경찰·군부대에서는 누적 7038명이 현장에서 일했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