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위기관리 주관 기관은 산림청이다. 산림청이 제공하는 읍면동 단위의 산사태 예측정보를 참고해 시군구 단위 자치단체는 산사태 예보를 발령한다.

신청군은 16~19일 폭우로 말미암은 산사태로 주민 13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다. 군 누리집에는 산사태 관련 피해 복구 모금, 피해자 지원, 피해 접수에 관한 안내문이 팝업창으로 뜨고 있다. 그러나 산림청이 19일 오후 12시 37분 발령해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산사태 경보에 대한 상황 정보는 보이지 않는다.

물론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물폭탄에 대처가 늦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정부도 산사태 위험지도, 산사태 중기예보시스템 등이 미비하다는 점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예방시스템이 구축되고 이를 적용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해서 해당 자치단체의 책임을 미룰 수는 없다. 자치단체는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자연재난 기록과 대처 방법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청군 누리집에 산사태 관련 위험, 피해, 대피소 관련 정보가 전면에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책임감이 부족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산청군은 19일 산사태 발생 전에 군민들에게 재난 문자를 보냈다. 하지만, 구체적인 대피 방법과 장소 안내가 없었다. 이 문자를 보내고 몇 시간 뒤부터 피해자가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이때 대피 방법과 장소를 명시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또 문자발송과 동시에 면 단위 지역에 나가 있는 공무원들과 이장과 관변조직까지 동원해 대비했다면, 주민들의 불안감과 피해는 훨씬 경감됐을 것이다.

재난 상황에서 자치단체는 중앙정부의 정보만 그대로 전달하는 데 머물러선 안 된다. 지역 재난에 대한 노하우와 주민에 대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업무를 집행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