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28채 불타…선비문화연구원서 생활
도·산청군 대책 내놓고 일상 되찾기 지원
산청·하동 산불 주불이 잡히면서 몸을 피했던 주민들이 속속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31일 기준 대피소 생활을 이어가는 주민은 산청 24명이다. 하동은 31일 오전 대피소에서 생활하던 21명 모두 집으로 돌아갔다.
이번 산불로 산청군에서 주택 22채가 모두 불에 타고 6채가 일부 타는 등 모두 28채가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임시 대피소는 산불 기간 산청 12곳, 하동 9곳 등 21곳 운영됐다. 31일 현재 산청 한국선비문화연구원 1곳만 운영하고 있다. 한국선비문화연구원에서는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 24명이 생활하고 있다. 대부분 집이 불탄 시천면 중태·외공·자양마을 등 주민이다.
산청군 관계자는 "주민들은 대부분 집으로 돌아갔으며, 이중 일부는 친척이나 가족 집 등 거처에 머무르고 있다"며 "산불로 집을 잃은 주민들에게는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을 임시 거처로 정해 생활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청군은 지난 21일 산불이 발생한 후 피해가 집중됐던 시천면 신천리 등 31개 마을에 주민 대피령을 내렸다. 하동지역도 옥종면 두양마을을 비롯해 14개 마을에 대피령이 발령됐다. 열흘 동안 이어진 산불에 몸을 피한 이들은 산청·하동 주민 2158명에 이른다. 여기에 일시 대피 인원까지 포함하면 산청 3920명, 하동 1418명이 임시 대피소에 다녀갔다.
경남도와 산청군은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을 위한 대책을 내놨다. 우선 단기 대책으로 이재민이 6개월 동안 거주할 수 있도록 임시 거처를 제공한다. 임시 거처는 대피소로 활용하는 한국선비문화연구원과 조립식 주택 등이다.
임시 거처로 지정된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은 기본적인 숙식이 가능한 시설로, 냉난방 시설 등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산청군은 이재민들이 원하면 그대로 생활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이재민 장기 대책으로 특별재난지역 주민에게 1.5% 저리 융자를 지원한다. 여기에 정부 이차 보전 등 주거비 지원을 검토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대 주택을 지원하는 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도와 군은 산불 지역 주민을 위한 구호지원 대책도 내놨다. 산불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에 정부의 긴급복지 지원과 도 희망 지원금으로 생계비와 의료비, 주거비, 난방비 등을 지원한다. 또한, 의료 지원도 함께 진행해 임시 거처 등에 의료지원팀을 파견해 주민 건강을 살피는 한편, 정신적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에게는 통합 재난심리지원단 심리 지원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산청군은 이날 오전 산불 피해 복구 대책 보고회를 열고 △산청에 진화용 헬기 배치 △창녕 산불진화대 순직자 등 실질적인 보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 △산청군 남부지역 산불대응센터 등을 요구했다.
/김태섭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