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군 시천·삼장면, 하동군 옥종면 대상
도지사 "주민들 조속한 일상 복귀 도울 것"
생계비·의료비·주거비·난방비 차등 지원
기준 다소 초과해도 긴급지원 심의로 진행
마음안심버스로 마을 단위 심리 상담 지속
한국선비문화연구원·조립 주택 주거 제공
복구계획 세워 피해지역 연차별 조림 복원
재발화 대비해 주·야간 24시간 상황실 운영
경남도가 산불 피해가 큰 산청군 시천면·삼장면과 하동군 옥종면 주민에게 1인당 긴급재난지원금 30만 원을 지급한다. 주민 약 1만 명이 대상이며 예산 30억 원이 투입된다.
박완수 도지사는 30일 오후 산청 시천면에 있는 산불통합지휘본부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피해 지원책과 복구 계획을 설명했다. 박 지사는 "지역 주민들이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촘촘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생계·주거·심리 등 지원 = 도는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에 정부 긴급 복지지원과 경남도 희망지원금으로 생계비·의료비·주거비·난방비 등을 차등 지원한다. 기준을 다소 초과한 가구도 긴급지원 심의위원회를 거쳐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산불 피해자들을 돕고자 모인 성금도 우선 지원하는 방안을 모금 기관과 협의 중이다.
대피소에서는 현장 응급의료소와 환자 모니터링, 재난심리 서비스 등 의료·심리 지원을 하는데, 이후에도 마음안심버스로 마을 단위 심리 지원을 이어간다.
도는 주택 피해(전소 22채·반소 6채) 가구를 위해 한국선비문화연구원과 조립 주택으로 임시 주거지를 제공한다. 장기적으로 정부 주거비와 추가 융자 이차 보전으로 주거 안정화를 돕는다.
아울러 산청·하동지역 소상공인에게는 100억 원 규모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융자로 지원하고, 지역사랑상품권도 469억 원 규모로 확대해 발행한다.
농업인에게는 경남도 농어촌진흥기금으로 개인 5000만 원, 법인 3억 원을 저리 융자로 제공하고 기존 대출 상환 유예와 이자 감면도 지원한다. 농약대, 대파대(농작물을 다시 심는 복구 비용), 가축 입식비, 농업시설 지원도 정부와 함께 추진한다.
박 지사는 "대한민국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 천왕봉을 산불에서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헌신적으로 대응한 330만 도민 덕분"이라며 자원봉사자·산불진화대원·공직자 등 헌신과 많은 성금, 물품 등을 지원한 도민에게 감사를 표했다. 또 진화 과정에서 순직한 공무원을 비롯한 산불진화대원 등 4명의 명복을 다시금 빌었다. 도는 유가족과 부상자에 전담 공무원을 배치해 보상 등 행정 지원을 하고 있다.
◇연차별 산림 복원 = 산불 피해지는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방지하고자 긴급 진단과 벌채가 시행된다. 도는 지자체 현장 조사와 관계기관 합동조사로 복구계획을 세워 피해지역 특성에 맞는 연차별 조림 복원에 나선다.
박 지사는 이번 산불 대응 문제점을 지적하며 △특별재난지역 등 긴급 상황 때 민간 헬기 이착륙 허가 절차 간소화 △경남에 산불 예방·진화 거점인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을 정부에 촉구했다.
아울러 박 지사는 자치단체 전문진화대와 산림청 특수진화대 모두 장비와 인력 부족을 겪고 있어 국가 차원의 과감한 지원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헬기가 뜨지 못하는 야간 진화 작업을 위해 열화상 드론, 이동형 고출력 LED 조명타워, 휴대용 서치라이트(조명기구) 등 전문 장비 확충도 시급하다고 짚었다.
도는 재발화에 대비해 주·야간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고, 열화상 드론 등으로 산불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공중·특수진화대, 소방, 공무원 등 350여 명과 헬기 40대, 진화차 79대도 배치돼 있다.
청명(4월 4일), 한식(4월 5일)을 앞두고 비상근무체계도 가동한다. 공원묘지·등산로·입산통제구역 순찰을 강화하고, 주요 산림지역과 등산로에는 입산 금지를 시행 중이다. 도는 산림 인접지 화기 사용, 논·밭두렁과 폐기물 소각 금지에 도민 협조를 거듭 요청했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