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기 대표, 명 씨 실질적 설립·운영 의혹에 "사실" 주장
'맞춤형 여론조사' 의혹 실마리 실질 운영자 여부 '촉각'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의 중심에 있는 명태균 씨가 여론조사 업체인 미래한국연구소를 타인 이름을 빌려 운영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미래한국연구소 대표이사로 등기된 김모 씨는 22일 명 씨가 미래한국연구소를 설립했고 대신 법인등기에는 이름을 올리지 않고 차명 운영했느냐는 <경남도민일보> 질문에 “모든 것이 사실이다”고 말했다.

2018년 8월 22일 설립된 미래한국연구소는 여론조사업, 인터넷신문 발행업 등을 겸하고 있다. 첫 등기 대표이사는 2022년 창원시 의창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한 김영선 전 의원이다. 김 전 의원 보좌관을 지낸 김 씨는 2019년 4월 대표로 이름을 올렸다. 김 전 의원은 2017년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소속으로 경남도지사 출마를 타진했던 시기 출판 업무를 계기로 명 씨와 연결됐다.

김 씨는 김 전 의원이 대표일 때 법적 문제가 불거지자 대표를 맡아 대신 조사를 받으라는 명 씨 요청을 받아들였다고 주장했다. 미래한국연구소 대표 직책을 달았던 김 씨는 실제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벌금형을 받았었다.

이와 관련해 2020년 10월 선고된 판결문을 보면, 2019년 김 씨는 전 계층을 대표할 조사 대상을 선정하지 않고 21대 총선 여론조사를 벌이고 선거여론조사기관이 아닌 미래한국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주간신문 누리집에 결과를 공표·보도한 혐의로 벌금 500만 원을 받았다.

그는 “명 씨 때문에 발생한 문제가 다섯 차례”라며 “당시 검찰 조서에 ‘김 전 의원 명의를 빌려 법인을 냈는데 바로 변경을 못 했다’, ‘법적 문제가 발생하면 감수하겠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겨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4월 폐업 상태에서 자택 압류, 경매 등을 혼자서 감당하고 있고 세무서 체납액 1300만 원도 압류 상태”라며 김 전 의원과 관계 탓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에 연루된 인물들은 ‘여론조사’로 연결돼 있다. 명 씨가 미래한국연구소 자체 여론조사, 이른바 ‘맞춤형 여론조사’로 영향력을 키웠다는 의혹이다. 결국 미래한국연구소 실질 운영자를 밝혀야 의혹 첫 단추가 풀린다.

명 씨는 2022년 5월 윤 대통령 취임식에 미래한국연구소 회장 직함으로 초대됐다. 그러나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이 불거지자 명 씨는 본인 소유 회사가 아니라며 연관성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명 씨는 지난 1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미래한국연구소하고 아무 상관이 없다”면서 “거기는 5년 전에 제가 다 넘겨준 회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법인도 전혀 다르다”며 “저는 그 법인하고 아무 상관이 없다”고 했다.

미래한국연구소 대표로 이름만 올렸고 명 씨가 실운영자였다는 김 씨 주장은 명 씨 주장과 전면 배치된다. 다만, 명 씨가 CEO(최고경영자)였던 <시사경남> 내부 관계자 증언이 일치하는 만큼 차명 운영 주장이 힘을 받는다. 김 씨는 <시사경남> 보도국장 직책을 맡았었고,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을 폭로한 강혜경 씨도 <시사경남> 편집국장이었다.

/최환석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