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사실상 민영화 찬성 입장vs권 "민영화로 서부경남 항공산업 파탄"
대한항공의 부산 항공산업클러스터 조성계획에 대한 반발이 KAI(한국항공우주산업) 민영화 논란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이 문제가 도지사 보궐선거 쟁점으로도 떠오를 전망이다.
'도청 마산 이전'과 '마창진 재분리'로 한 차례 맞불을 놓은 새누리당 홍준표, 무소속 권영길 후보가 선거운동 첫날부터 KAI 민영화 쟁점에 불을 댕겼다. 홍 후보는 KAI 민영화에 조건부 찬성 입장인 반면, 권 후보는 절대 반대하고 있어서 대별된다. 대립각은 갈수록 날카로워질 것이다.
홍 후보는 27일 한국철강을 방문한 자리에서 정상욱 KAI 노조위원장을 만나 "두 가지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KAI 민영화 반대운동을 펼치겠다"고 약속했다. 전제란 건전한 자본의 참여와 고용의 완전 승계인데, 그동안 KAI 민영화 찬성 입장을 세밀화한 것이다. 홍 후보는 이를 '발전적 민영화'라 표현했다.
이에 더해 홍 후보 선대위는 이날 '무조건 반대로 갈 것인가?'라는 논평을 내고 민영화 반대 입장을 견지하는 권 후보 측을 에둘러 비판했다.
홍 후보 선대위는 "최근 대한항공이 부산시와 항공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데 대해 즉각 반대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재무구조가 열악한 대한항공이 항공산업에 분산 투자할 경우, KAI 인수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면서 "항공우주산업의 특성상 많은 투자가 필요하고 투자 회수기간이 길어서 사업을 발전시키려면 책임있는 경영이 필요하고 그래서 투자여력이 충분한 건전한 민간자본의 참여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홍 후보는 조만간 KAI를 방문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권 후보 측은 즉각 '홍준표 후보는 KAI 민영화 입장을 재고하라'는 논평을 내고 "도청사 이전이라는 황당무계한 공약 만큼 홍 후보의 KAI 민영화 입장 또한 서부경남 지역민을 불안하게 만드는 것"이라면서 "KAI 민영화 주장을 이 기회에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권 후보 선대위는 "대한항공은 우리가 잘 아는 한진그룹의 '유전자'를 보유한 기업이다. 한진그룹은 부산의 대표적인 공기업 '대한조선공사'를 인수해 단물 다 빨아먹고 대규모 정리해고 상처만 남기고 필리핀 수빅만으로 튀어버린 기업 아닌가"라며 "한진중공업의 현재가 KAI의 미래가 될 수 있다는 경남도민 우려는 기우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권 후보는 "대한항공이 KAI를 인수한다면 KAI 민수부분을 모두 부산으로 가져가고, 대부분 협력업체까지도 부산으로 이전하려 할 것"이라며 "그간 항공우주산업을 키워온 사천과 진주 지역경제는 껍데기만 남고 붕괴는 불 보듯 뻔하다"고 우려했다.
권 후보는 28일 오후 3시 사천에서 열리는 KAI 민영화 반대 집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사천·진주, 대한항공-부산 협약 맹비난
- 공민배 양보…권영길로 단일화
- 정만규 사천시장 "대한항공 KAI 인수 적극 반대"
- 대한항공-부산시, 항공산업 육성·발전 MOU 체결에
- [취재노트]KAI 인수전 관심 증폭
- 홍준표 "공약 다 못지켜…KAI 민영화 찬성"
- "경남도, KAI 민영화 사태 손 놓고 있었다"
- KAI본입찰 연기…대선·보선이 운명 바꿀 수도
- [사설]홍준표 후보의 KAI 민영화 인식
- 박근혜-문재인 "KAI 졸속매각 반대"
- [사설]여야 후보들 견해차 큰 KAI 해법
- KAI 민영화 끝장토론 제안에 여상규 의원 '난색'
- 여상규 의원 "KAI, 민영화 당연…대한항공은 안돼"
- 경남 시장군수협, KAI 민영화 반대 결의
- 새누리 "KAI 민영화 안 한다"…믿어도 될까?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