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가대교·거북선 복원사업.."공무원 결탁없이 힘든 일. 자체 감사로 책임 물어야"
김태호 전 경남도지사 시절에 펼친 각종 사업이 막판에 심각한 후유증을 낳고 있다. 부실공사 덩어리로 전락한 거가대교와 거북선 복원사업이 대표적이다.
2조 200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지난해 말 개통한 거가대교는 총체적인 부실로 경남도 자체 감사수준을 뛰어넘어 외부감사가 요구되는 사업이다.
완공되지도 않은 구간을 감리단이 허위서류를 작성해 준공처리한 사실이 드러난 경우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했다. 저도는 거가대교 공사를 위해 2005년부터 각종 자재를 해상으로 운반하거나 쌓아둔 임시 물양장이었다. 2010년 말까지는 모두 철거하게 돼 있다. 그런데 폐기물을 치우지 않고 바다 밑에 처박았다.
수백 곳의 부실공사는 단순히 마무리 과정에서 빚어진 부실이 아니라 총체적인 부실이었다. 거가대교 이용자들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싼 1만 원(소형차 기준)의 통행료를 부담하고 있다. 여기에 한 술 더 떠서 업자들 배 불리기는 더욱 가관이다. 최소운영수익보장(MRG)을 20년간 해주고 다시 20년간은 자체 운영하게 돼 있다.
이 모든 것이 공무원들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1천만 원짜리 공사를 665만 원(66.5%)에 하도급을 주면서 시공사들은 공사비를 그대로 남겼다. 여기에다 최소운영수익보장(MRG)까지 챙겨간다. 하도급 공사 가운데 원도급 금액 34억 5000만 원짜리 공사를 15.34%에 불과한 5억 3000만 원에 계약했다. 얼마를 남겨 먹었다는 것인지 계산이 나오지 않는다.
시민단체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민간사업자는 1조 원 남짓 직접 투자하고 수익은 40년간 23조 원을 챙겨간다고 한다. 국민의 호주머니를 털어서 건설사 배 불리게 하는 공무원들은 건설사 직원이지 공무원이 아니다.
거북선 복원사업만 해도 그렇다.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겠다며 40억 원을 들인 거북선 복원 프로젝트도 거짓복원 사업이 되고 있다. 경남도의 위탁으로 경남개발공사가 발주한 거북선 복원사업은 공무원들의 결탁 없이는 도저히 상상을 할 수 없는 일이다. 시방서에는 '전량 국내산 목재 선체로 건조되어야 하며 국내산 나무 수급이 불가한 경우 발주처, 선주감독 및 설계사와 협의해 변경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경남도민일보 7월 22일자 보도) 시방서란 무엇인가. 공사수행에 관련된 제반규정과 요구사항을 총칭한 것을 말한다. 공사의 매뉴얼이나 마찬가지다. 경남도에서 몇 차례 배포한 보도자료는 금강송을 사용한다는 홍보를 했음에도 수입 목재를 사용했다는 것이 공무원들의 묵인 없이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뒤늦게 수입 목재 사용이 확인되면 건조업체에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다시 건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니 기가 찰 노릇이다.
담당부서에서는 손해배상이나 재건조를 먼저 언급할 것이 아니라 책임 선상에 있는 공무원에 대한 자체 감사를 천명하는 것이 일의 순서다. 고위직은 모두 빠져나가고 하위직 피라미들만 잡아 가두는 감사로는 절대 경남도에 만연한 공사부정을 막을 수 없다.
일만 터졌다 하면 빠져나갈 궁리만 하는 공무원을 바라보는 도민들은 허탈 수준을 넘어 체념 상태로 접어들고 있다. 1500여억 원을 들여 추진 중인 '이순신 프로젝트' 사업은 전형적인 예산낭비 사업이다.
거북선 복원사업 하나도 이 정도의 부실이라면 다른 사업은 어떨지 걱정이 앞선다. 정말 이순신 장군이 지하에서 통곡할 일이다.
/강창덕(강창덕, 세상과 소통하기·http://blog.daum.net/gnccdm)
관련기사
- '거북선 악재' 이순신 프로젝트 침몰 위기
- 김 지사 “거가대교에 수 조 원 혈세..절대 못 준다”
- 시민단체, "GK해상도로 형사고발 검토 중"
- 김두관 지사 '거가대교 강경 발언' 배경은?
- 거북선 복원에 수입목재 사용 사실로
- "마창·거가대교 MRG는 재앙..총 3조 860억 원 물어줘야"
- 거북선 수입목재 사용 알고도 묵인
- 거가대교 시공사 대우건설, 1년 만의 반박
- 대우건설 거가대교 감사 결과에 불복한다면?
- "짝퉁 거북선, 도민께 사과드릴 것"
- 안승택 도 개발공사 사장, '짝퉁 거북선' 사과
- 이게 사과? '짝퉁 거북선' 사과문, 논란만 더 키워
- 거북선 수입목재 사용 공무원 인지 정황 포착
- 짝퉁 거북선 관련 공무원 불구속 입건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