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4개 권역 가운데 양산서 첫 동부권 토론회
저조한 참석 속 형식적 진행, 지방의원 관심 낮아
이재명 정부 출범 부울경 메가시티 재부상 영향도

조기 대선으로 미뤄졌던 경남-부산 행정통합 시민 여론수렴이 본격화됐지만 '아래로부터 통합'이라는 취지를 살리기에는 갈 길이 먼 모양새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공동위원장 권순기·전호환)는 2일 양산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에서 양산·김해·밀양 동부권 토론회를 열었다. 공론화위원회가 계획한 경남 4개 권역 가운데 처음 양산에서 경남-부산 행정통합 인지도를 높이고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토론회를 마련했다.

하민지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이 '경남·부산 행정통합의 올바른 이해'를 주제로 기조 발제를 진행했다. 이어 정원식 공론화위 기획소통분과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윤창술 경상국립대 교수, 안권욱 지방분권 경남연대 대표, 허용복 경남도의원, 하혜수 경북대 교수가 행정통합 발전방향, 자치권 강화, 지방의회 역할, 행정통합 찬반 논리 등을 주제로 지정토론을 펼쳤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가 경남에서 처음 양산·김해·밀양 동부권을 대상으로 토론회를 2일 열었지만 빈자리가 더 많아 기대만큼 주목을 받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현희 기자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가 경남에서 처음 양산·김해·밀양 동부권을 대상으로 토론회를 2일 열었지만 빈자리가 더 많아 기대만큼 주목을 받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현희 기자

하지만, 2시간 남짓 이어진 토론회는 여느 형태를 벗어나지 못해 '아래로부터 통합' 취지를 살리지 못했으며, 시작부터 축사 등 의전에 30분가량을 허비해 정작 토론과 질의응답은 시간에 쫓겨 형식적으로 진행됐다. 160여 석 규모 토론회장에는 일부 김해·밀양지역 참석자를 제외하면 양산지역 읍면동 주민자치위원, 이·통장 등이 대부분 자리를 채웠다. 이마저도 기조 발제 후 토론회 진행을 위해 장내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절반 넘게 떠나면서 빈자리가 더 눈에 띄었다.

행정통합 공감대와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맡은 동부권 지방의원 참석도 저조했다. 김해·밀양 도의원과 시의원은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고, 양산에서는 박인·허용복 도의원이 참석했다. 토론회를 시작할 때 참석했던 시의원들도 기조 발제 후 대부분 자리를 떠나고 최복춘 시의원만 마지막까지 남아 질의응답을 토론자와 주고받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경남에서 처음 열린 토론회가 주목을 받지 못한 것은 그동안 국민의힘 소속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박형준 부산시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행정통합이 이재명 정부 출범 후 탄력을 받을 수 있겠느냐는 분위기가 확산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여기에 부울경 특별연합(메가시티)를 주창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장관급인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으로 위촉된 것도 행정통합 논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해지역 한 주민자치위원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행정통합은 박완수 도지사가 말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김경수 전 도지사는 메가시티를 내세우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가 들어선 만큼 경남-부산 통합은 적극적으로 찬성하지만 두 가지 안을 잘 조화를 이뤄 진행했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공론화위는 양산을 시작으로 11일 경상국립대 박물관(서부), 17일 통영시립충무도서관(남부), 25일 창원컨벤션센터(중부)에서 토론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현희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