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의 정치 지형 바꾸는 목표 세워
경남정치개혁시민연대로 명칭 변경 예정
"도정과 시정서도 국민의힘 독점 막아내겠다"
내란 세력 청산과 정권교체를 위해 모아낸 광장의 목소리가 지방선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앞으로는 내년에 열리는 지방선거를 겨냥해 경남 지역의 정치 지형을 바꾸는 일에 힘을 쏟기로 했다. 지역에서 국민의힘 정치 기반을 무너뜨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경남광장선거대책본부가 24일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에서 대선평가 토론회를 열었다. 이들은 ‘경남정치개혁시민연대’로 명칭을 바꾸고 경남 정치세력 교체와 진보민주적 도정을 위해 정치적 연대체를 꾸리기로 했다. 광장에서 연대가 정권교체에서 그친다면 ‘일시적 승리’가 될 수 있어서다.
김준형 경남광장선거대책본부 집행위원장은 “경남은 수구 세력 정치기반의 핵심 지역이다. 수구세력은 정치적으로 고립돼 있어 대구·경북, 부울경, 강원 지역으로 축소돼 있다”며 “경남에서 무너지면 국민의힘 국회의원 의석 수가 100석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보민주세력이 분열해 국민의힘이 계속 집권한다면 진보민주세력은 정치적 기반을 확대할 수 없다”며 “경남 도정과 시정을 국민의힘이 독점하는 것을 막고 진보민주적 지방자치를 실현해 도민 삶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남정치개혁시민연대는 7월 출범할 예정이다. 경남정치개혁시민연대는 정치 개혁을 위해 공동 실천을 전개하기로 했다. 지방선거에서 이기기 위한 공동 대응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들은 국민의힘을 수구 세력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규탄하고 심판하는 활동을 이어간다. 내년에 열리는 지방선거에서 정치 지형 변화에 공감하는 단체를 모아내는 일도 맡았다.
경남정치개혁시민연대는 6.3 대선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경남광장선거대책본부는 진보민주세력이 연대하는 계기를 만들어내기는 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를 모아나가는 조직 사업에서 어려움을 겪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조완제 더불어민주당 경남선대위 총괄선대본부장은 “단체별 온도차는 활동의 확산과 지속 가능성에 제약을 줬다”며 “노동진영과 시민사회 내부에서 선거운동에 대한 이견이 존재했고, 실천 역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장하지 못한 점 아쉽다”고 짚었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이 경남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는 일이 목표였다. 그동안 경남에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이긴 사례는 없었다. 80만 표 이상을 가져가거나, 득표율 38%를 넘어선 적도 없었다.
이번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경남에서만 39.4%를 얻었다. 김문수(51.99%) 국민의힘 대선 후보보다 앞서지는 못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이 경남에서 얻어낸 가장 높은 득표율이었다. 광장의 투쟁을 대선으로 연결해 내란 세력의 재집권을 막은 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여전히 국민의힘의 지역적 기반은 견고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권 교체에 성공했지만, 지역 정치는 바꿔내지 못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10만 광장선대본부장 가입 사업을 목표로 했지만 수치를 달성하지 못했다. 노동자 조직 사업도 힘을 얻지 못해 노동 단위를 넘어서는 활동을 진행할 수 없었다.
/김다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