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창원공장 관계 인구만 1만~2만 명
지엠 2027년 철수 가능성, 고용 불안 가중
노조와 협업 체계 갖춰 정부·산은 대책 압박
"한국지엠 지속가능성 = 창원의 지속가능성"
‘진보정치 1번지’ 창원 성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처음 당선한 허성무 국회의원이 한국지엠 철수 우려와 노사 문제 등 현안에 대응하고자 노동조합과 협업 체계를 갖춘다.
허 의원은 지난 11일 국회에서 전국금속노동조합 안규백 한국지엠지부장, 김종수 창원지회장 등과 만나 간담회를 했다. 한국지엠은 인천 부평에 본사, 창원과 충남 보령에 공장을 두고 있다. 창원공장은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핵심 사업장 중 하나로 부품을 공급하는 협력업체까지 포함해 지역 내 1만~2만 명가량 고용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안 지부장은 “국책은행이자 한국지엠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지분을 확대하고 주주 역할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국회에서 관심을 기울여 달라”며 “노조와 정례 간담회와 함께 2027년 한국지엠과 산업은행 투자 관련 비공개 합의 종료 이후 대응 등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GM 호주사업장 철수를 이끄는 등 구조조정 전문가인 카허 카젬 전 한국지엠 사장은 2017년 9월 취임한 이듬해 군산공장 구조조정을 지휘했다. 그 과정에서 GM이 한국에서 완전히 철수할 가능성도 제기됐고,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지원에 나서 상황을 수습했다. 그 대가로 GM은 한국에서 최소 10년 사업을 지속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신차 2종 한국공장 생산 투입을 결정했다.
2022년 한국지엠 사장으로 온 로베르토 럼펠 사장은 트레일블레이저 개발, 트랙스 크로스오버 출시 등 약속을 이행했다. 이제 2017년 약속한 ‘한국에서의 사업 기간 10년’ 중 2년 6개월만 남았다. 노조로서는 GM이 약속한 10년이 마무리되고 2028년 이후에도 한국에서 사업 지속을 보장받으려면 산업은행과 정부, 국회 역할이 꼭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허 의원은 “한국지엠의 지속 가능성은 곧 창원의 지속 가능성과 마찬가지”라면서 국회에서 이 사안을 지속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인천 부평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공조해 GM이 한국에서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찾아보겠다”며 “지속 가능성을 비롯해 노사 갈등을 줄이고, 비정규직 처우 개선 같은 노동 현안 해결에 필요한 계획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허 의원은 보좌진에 ‘GM 현안 해결 단계적 이행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그는 “산업은행과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들을 만나 현안과 해법을 면밀하게 고민하고, 결과를 노조와 공유하는 자리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허 의원은 당선 후 지난달 28일 한국지엠 창원공장을 방문해 노조 미래발전위원회 주최 ‘한국지엠 창원공장, 이대로 좋은가’ 간담회에 참여했었다. 이날 국회 간담회는 이때 논의한 내용의 실천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