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창원공장 관계 인구만 1만~2만 명
지엠 2027년 철수 가능성, 고용 불안 가중
노조와 협업 체계 갖춰 정부·산은 대책 압박
"한국지엠 지속가능성 = 창원의 지속가능성"

‘진보정치 1번지’ 창원 성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처음 당선한 허성무 국회의원이 한국지엠 철수 우려와 노사 문제 등 현안에 대응하고자 노동조합과 협업 체계를 갖춘다.

허 의원은 지난 11일 국회에서 전국금속노동조합 안규백 한국지엠지부장, 김종수 창원지회장 등과 만나 간담회를 했다. 한국지엠은 인천 부평에 본사, 창원과 충남 보령에 공장을 두고 있다. 창원공장은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핵심 사업장 중 하나로 부품을 공급하는 협력업체까지 포함해 지역 내 1만~2만 명가량 고용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안 지부장은 “국책은행이자 한국지엠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지분을 확대하고 주주 역할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국회에서 관심을 기울여 달라”며 “노조와 정례 간담회와 함께 2027년 한국지엠과 산업은행 투자 관련 비공개 합의 종료 이후 대응 등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허성무 창원 성산 국회의원과 전국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국회 의원회관 허 의원 사무실에서 간담회를 하고 있다. /허성무 의원실
허성무 창원 성산 국회의원과 전국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국회 의원회관 허 의원 사무실에서 간담회를 하고 있다. /허성무 의원실

GM 호주사업장 철수를 이끄는 등 구조조정 전문가인 카허 카젬 전 한국지엠 사장은 2017년 9월 취임한 이듬해 군산공장 구조조정을 지휘했다. 그 과정에서 GM이 한국에서 완전히 철수할 가능성도 제기됐고, 2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지원에 나서 상황을 수습했다. 그 대가로 GM은 한국에서 최소 10년 사업을 지속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신차 2종 한국공장 생산 투입을 결정했다.

2022년 한국지엠 사장으로 온 로베르토 럼펠 사장은 트레일블레이저 개발, 트랙스 크로스오버 출시 등 약속을 이행했다. 이제 2017년 약속한 ‘한국에서의 사업 기간 10년’ 중 2년 6개월만 남았다. 노조로서는 GM이 약속한 10년이 마무리되고 2028년 이후에도 한국에서 사업 지속을 보장받으려면 산업은행과 정부, 국회 역할이 꼭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허 의원은 “한국지엠의 지속 가능성은 곧 창원의 지속 가능성과 마찬가지”라면서 국회에서 이 사안을 지속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인천 부평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공조해 GM이 한국에서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찾아보겠다”며 “지속 가능성을 비롯해 노사 갈등을 줄이고, 비정규직 처우 개선 같은 노동 현안 해결에 필요한 계획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허성무 창원 성산 국회의원과 전국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국회 의원회관 허 의원 사무실에서 간담회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허성무 의원실
허성무 창원 성산 국회의원과 전국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 관계자들이 지난 11일 국회 의원회관 허 의원 사무실에서 간담회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허성무 의원실

허 의원은 보좌진에 ‘GM 현안 해결 단계적 이행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그는 “산업은행과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들을 만나 현안과 해법을 면밀하게 고민하고, 결과를 노조와 공유하는 자리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허 의원은 당선 후 지난달 28일 한국지엠 창원공장을 방문해 노조 미래발전위원회 주최 ‘한국지엠 창원공장, 이대로 좋은가’ 간담회에 참여했었다. 이날 국회 간담회는 이때 논의한 내용의 실천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