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의회 제18회 임시회가 회기 마지막 날인 7일 '창원시 3대 중요시설 지역 안배 결정 촉구 결의안'을 다룰 것인지를 놓고 지역별로 마찰을 빚으며 파행을 초래했다.
이날 오후 2시 시작된 제4차 본회의는 옛 창원지역 의원들이 '통합청사 논의' 불가를 외치며 본회의장을 점거함에 따라 대치 상태가 밤 12시를 넘겨 자동 폐회됐다. 이 때문에 남아있던 '중국의 북한 이탈 주민 강제송환 중단 촉구 건의안'과 '고리원전 1호기 즉각 폐기와 원전 확대정책 전면 재검토 촉구 결의안'은 상정되지 못했다.
본회의 전 옛 진해지역 박철하(새누리당, 이·자은·덕산·풍호동) 의원은 "총선과 청사 논의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어차피 의회가 결정해야 할 통합 청사 소재지 문제를 계속 미루기만 하면 갈등이 더 커진다"며 '창원시 3대 중요시설 지역 안배 결정 촉구 결의안' 상정을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개회가 되자 박 의원은 김이수 의장에게 의사진행발언을 신청했다. 그러나 김 의장이 조례부터 다룬 다음 발언 기회를 주겠다고 해 상정된 21개 안건이 통과 또는 부결 처리됐다.
이후 오후 6시 40분 박철하 의원은 '창원시 3대 중요시설 지역 안배 결정 촉구 결의안'을 상정하자는 '의사일정 변경 동의의 건'을 제출했고, 옛 창원지역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장동화(무소속, 북면·의창동) 의원은 "28명이 서명해 다수 의원이 이번 임시회에서 상정하지 않기로 뜻을 모았는데 의장이 무책임한 행동을 해 불신임 건의안을 상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각 지역 의원들이 술렁였고 본회의장 분위기가 험악해지자 김이수 의장은 6시 50분께 정회를 선언했다. 옛 창원지역 의원들은 의장석 주변을 둘러싸 의장과 다른 지역 의원들의 접근을 차단해 사태는 파행으로 치달았다. 이후 대치 상태가 밤 12시까지 이어져 이번 임시회는 자동 폐회됐다.
한편, 그동안 창원시의회는 통합청사를 옛 마산, 옛 창원, 옛 진해 중 어디에 짓느냐를 두고 수차례 몸싸움을 벌여왔다.
관련기사
- 창원지역 출마자도 통합청사 들고 나섰다
- 옛 창원지역 사회단체, 통합청사 줄다리기 가세
- 의정·지역구 활동 호평… 통합청사 발언 곤혹
- [월요세평]시민들이 말한다
- 창원 통합청사 토론…구청 강화·공동청사론 제안
- "창원 통합청사 신축 아닌 리모델링으로"
- 창원 통합청사 해법찾기, 시민단체 발벗고 나선다
- "통합청사 위치 작년에 결정했어야 하는데…"
- "창원 통합청사, 차라리 경계지역에 지으면…"
- 창원시 통합청사 문제 실마리 찾기 분주
- [총선] 졸속 통합 심판·시청사 문제 '화약고'
- 창원시의회 어렵게 예산안 통과시켰지만…
- [바튼소리]총선 공약 노리갯감 '창원시청사'
- 창원시청사·야구장 위치 진전 있을까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