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의회 제18회 임시회가 회기 마지막 날인 7일 '창원시 3대 중요시설 지역 안배 결정 촉구 결의안'을 다룰 것인지를 놓고 지역별로 마찰을 빚으며 파행을 초래했다.

이날 오후 2시 시작된 제4차 본회의는 옛 창원지역 의원들이 '통합청사 논의' 불가를 외치며 본회의장을 점거함에 따라 대치 상태가 밤 12시를 넘겨 자동 폐회됐다. 이 때문에 남아있던 '중국의 북한 이탈 주민 강제송환 중단 촉구 건의안'과 '고리원전 1호기 즉각 폐기와 원전 확대정책 전면 재검토 촉구 결의안'은 상정되지 못했다.

본회의 전 옛 진해지역 박철하(새누리당, 이·자은·덕산·풍호동) 의원은 "총선과 청사 논의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어차피 의회가 결정해야 할 통합 청사 소재지 문제를 계속 미루기만 하면 갈등이 더 커진다"며 '창원시 3대 중요시설 지역 안배 결정 촉구 결의안' 상정을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7일 열린 창원시의회 제18회 임시회 3차 본회의에서 통합청사 논의 문제를 두고 논란이 빚어졌다. . /최윤영 기자

개회가 되자 박 의원은 김이수 의장에게 의사진행발언을 신청했다. 그러나 김 의장이 조례부터 다룬 다음 발언 기회를 주겠다고 해 상정된 21개 안건이 통과 또는 부결 처리됐다.

이후 오후 6시 40분 박철하 의원은 '창원시 3대 중요시설 지역 안배 결정 촉구 결의안'을 상정하자는 '의사일정 변경 동의의 건'을 제출했고, 옛 창원지역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장동화(무소속, 북면·의창동) 의원은 "28명이 서명해 다수 의원이 이번 임시회에서 상정하지 않기로 뜻을 모았는데 의장이 무책임한 행동을 해 불신임 건의안을 상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각 지역 의원들이 술렁였고 본회의장 분위기가 험악해지자 김이수 의장은 6시 50분께 정회를 선언했다. 옛 창원지역 의원들은 의장석 주변을 둘러싸 의장과 다른 지역 의원들의 접근을 차단해 사태는 파행으로 치달았다. 이후 대치 상태가 밤 12시까지 이어져 이번 임시회는 자동 폐회됐다.

한편, 그동안 창원시의회는 통합청사를 옛 마산, 옛 창원, 옛 진해 중 어디에 짓느냐를 두고 수차례 몸싸움을 벌여왔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