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시의회 개회…집행부 내달 야구장 결정 예정

창원시 집행부가 5월 중 야구장 신축 위치를 결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는 30일 개회하는 창원시의회가 통합청사 문제를 진전시킬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창원시 집행부와 시의회 모두 청사와 야구장 신축 위치 결정은 별개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통합 창원시 균형발전을 고려하면, 옛 마산, 옛 창원, 옛 진해지역 중 어느 한 곳이 청사와 야구장을 함께 유치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집행부가 야구장 위치를 먼저 결정하면 결과적으로 청사는 다른 지역으로 가게 되는 것이다.

통합 창원시 출범 때 통합준비위원회는 새 청사 위치는 옛 마산, 옛 진해지역을 1순위로, 옛 창원지역을 2순위로 한다고 결정했다. 그러나 시의원들이 지역별로 대립하면서 창원시의회는 그동안 공전을 거듭해왔다.

30일부터 5월 8일까지 열리는 제19회 임시회에서도 청사 논의는 뚜렷한 진전을 이루기 어렵다는 의견이 아직은 우세하다. 4·11 총선에서 창원시 국회의원 당선자들은 각각 자기 지역에 청사 유치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국회의원은 기초의원 정당공천제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시의원 공천권을 가진다. 청사 위치 결정권이 시의회에 있다고는 하지만, 이대로 논의를 시작하면 극한대립이 벌어질 가능성이 큰 이유다.

창원시 집행부도 이번 임시회가 청사 문제를 진전시키지 못하고 끝나면 답답해질 수 있다. 박완수 시장이 정치적 부담을 안고 야구장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마냥 미룰 수도 없는 것이, 창원시는 2015년까지 새 야구장을 완공하기로 NC다이노스 구단과 약속해놨다.

마산지역과 진해지역 일부 의원들은 청사와 야구장 문제를 같이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두 중요 시설물을 시의회나 집행부 어느 한 쪽이 먼저 결정하기가 부담스럽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연초 집행부가 협의기구를 만들어 청사 문제를 같이 논의하자고 제안했지만 일부 시의원들 반대로 무산된 적이 있어 이 또한 쉬운 일은 아니다.

김헌일(무소속, 태백·경화·병암·석동) 의원은 "이럴 때일수록 원칙을 지키면 된다"며 "먼저 청사를 1순위 지역에 결정하고, 탈락 지역에서 야구장을 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반면, 박철하(새누리당, 이·자은·덕산·풍호동) 의원은 "시의회가 청사 위치를 먼저 결정하기 어려운 것처럼, 집행부가 야구장 위치를 먼저 정하는 것이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라며 "국회의원 청사 공약은 표를 얻고자 나왔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고, 시의회와 집행부가 청사와 야구장을 함께 결정하는 것이 해답"이라고 말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