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형 일자리 창출·협치 모델 구축이 핵심
스마트산단 일자리사업 주목
민관거버넌스 저변 확대 과제
현 정부 정책 선도지역 부상

지난해 6월 김경수 지사의 당선은 일대 사건이었다. '최초의 민주당 경남도지사'라는 타이틀은 변화를 열망하는 도민들이 김 지사에게 안겨준 정치적 영예였던 셈인데, 그만큼 김 지사에게 거는 기대감은 높았다.

'국정농단' 여파로 자유한국당이 제대로 힘을 써보지도 못한 채 막을 내린 지방선거이긴 했지만, 김 지사와 더불어 경남 동남권 전역에서 민주당 소속 기초단체장들이 대거 당선된 건 조선·자동차 업계의 어려움으로 대표되는 경기침체가 주요한 원인이기도 했다.

뭔가를 바꿔야 하는 상황에 더해 실질적인 민생 정책을 연착륙시켜야만 하는 과제를 떠안은 김 지사로서는 짧은 영광의 문을 지나 긴 가시밭길로 접어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거대한 전환점에 직면한 경남도정이 2019년 과연 어떤 곳으로 향해 나아갈지를 짚어본다.

▲ 함께 여는 도정혁신 공감 토론회가 지난달 19일 도청에서 열렸다. 인사말을 하는 김경수 도지사. /경남도민일보 DB

◇스마트 공장 확산 탄력 받나 = 김경수 지사는 2019년을 일컬어 '경남 경제 재도약의 원년'이라 명명했다. 사실상 김경수 도정의 '원년'이라는 걸 공표한 것이고, 지난 6개월간 다져온 혁신 기반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변화를 도모하겠다는 의지의 발현이기도 했다.

김 지사의 도정 철학 저변에 흐르는 기조를 단적으로 표현하자면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위한 모범 정책을 경남에서부터 창출하자는 것'이다. 김 지사는 그 첫 성공사례로 '스마트 공장 보급을 통한 제조업 혁신 전략'을 꼽고 있다. 경남도는 지난해 말 정부 차원의 스마트 공장 보급 지원책을 이끌어낸 성과를 바탕으로 올 한 해 제조업 혁신을 위한 후속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단순히 스마트 공장 보급 실적에 얽매이기보다는 '스마트 산단 조성을 통한 경남형 일자리 창출'이나 청년 창업의 메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 조성 등으로까지 경남 제조업 전반에서 '스마트화'를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청년 창업자들이 시제품을 개발하고 사업화를 고민할 수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를 조성하는 일은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에 이어 김 지사가 꺼내 든 또 하나의 제조업 혁신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연초에 문승욱 경제부지사가 일반 제조업 공장에서 3D 프린팅 전문기업으로 전환해 성장 가도를 달리는 대건테크를 방문한 것도 그 연장선이다.

경남형 일자리 창출도 구체화할 전망이다. 정부가 스마트 산단 조성에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고, 그 최적지로는 단연 경남이 꼽힌다. '광주형 일자리'가 노사정이 함께 협의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한다면 '경남형 일자리'는 기존 제조업 일자리의 질을 한 단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특히 광주형 일자리 정책이 노사정 불협화음으로 더디게 진행되는 상황이어서 스마트 산단을 활용한 경남형 일자리 창출 사업에 전국적인 이목이 쏠릴 전망이다.

광주에서 진통을 겪는 '노사정 대타협' 정신을 구현하고자 경남도는 지난해 말 '일자리 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일자리 위원회에는 경남경영자총협회·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민주노총 경남본부·금속노조 경남본부·전국농민회·청년 유니온 등 도내 노사민정 대표 단체들이 망라됐다. "적어도 경남에서만큼은 일자리 창출에서 대화와 타협의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게 경남도의 목표점이다.

▲ 경남도 연수단과 함께 일본의 스마트 산업 현장을 시찰 중인 김경수 도지사. /경남도

◇소통·협치 통한 도정·사회 혁신 = '대화와 타협'은 협치 거버넌스 구축을 목표로 한 '사회혁신'의 지향점이기도 하다. 경남도는 민간영역의 아이디어와 행정의 지원책이 합쳐져 빚어낸 각종 협치 모델을 취합하고 연구해 경남에 걸맞은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도의회 인사청문회 도입'이나 '도교육청과 통합행정 체제 구축'을 통해 관대관 협치에 시동을 걸었다면, 2019년에는 민간의 정책 제안을 적극적으로 껴안겠다는 계획이다.

관변단체 위주인 경남에서 '민관 협치 거버넌스' 구축이 무에서 유를 창출하는 격이라고 '사회혁신추진단'은 토로한다. 따라서 향후 시민사회의 저변 확대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지 주목된다.

'소통과 협치'라는 대전제는 '도정 혁신'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김경수 도정 원년'을 이끌어갈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1월 2일 자로 본격 시행됐다. 이 과정에서는 일선 직원들이 느끼기에는 피곤하다 할 정도로 토론과 간담회가 이어졌다. 경남도 관계자는 "도정혁신은 아직 진행 중인 사안일 수밖에 없지만, 분명한 건 그 방식이 일방적이고 비민주적인 방식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소통과 협치'라는 도정 철학을 다시 한 번 되새겼다.

▲ 문승욱 경남도 경제부지사가 2일 새해 첫 일정으로 창원 3D 프린팅 전문기업인 대건테크를 방문했다. /경남도

◇경남 통합 관광 전략 = 올 한 해 주목되는 정책 중 하나는 경남도 차원의 통합적인 관광전략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통영·거제권과 지리산권 등에는 꾸준하게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지만, 각 지역을 한데 묶어 시너지를 도모하는 데는 부족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무엇보다 서부경남 KTX 착공이 가시화되면서 선제적인 관광 기반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김 지사는 서부경남 KTX 착공을 염두에 둔 관광·레저·힐링 산업 기반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서부경남 KTX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조치는 이달 중순께 국무회의를 통해 확정될 전망이다.

김 지사는 올 한 해 경남도정의 방향에 대해 "이제 중앙부처도 현장(지자체)에 가지 않으면 안 된다는 걸 우리 경남이 보여줬다. 현장에서 만들어진 정책을 가지고 중앙부처가 정책 방향을 잡아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앙부처에서 경남에 정책을 배우러 오게 하겠다"는 의지도 불태웠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