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보 확인…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 "도-창원시, 대책 세워라"

지난달 경남도민 식수원인 낙동강을 뒤덮은 녹조에서 유독성 남조류가 대량 증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민주통합당 장하나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아 지난 23일 공개한 '낙동강 수계 클로로필-a 및 남조류 분석 결과'를 보면 4대 강 사업으로 설치된 낙동강 8개 보 가운데 최상류에 있는 상주보를 제외한 7개 보의 남조류 세포 수가 ㎖당 500개를 넘었다.

이 가운데 창녕함안보는 지난달 ㎖당 최고 1만 7672개, 합천창녕보는 1만 1308개로 가장 많았다. 합천창녕보는 클로로필-a 수치도 58.6㎎/㎥로 호소에 적용되는 조류경보제 '경보' 단계에 해당한다.

상수원 보호를 위해 적용하는 조류경보제에서 조류 전체의 총량을 나타내는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류 세포 수가 각각 15㎎/㎥ 이상·500개/㎖ 이상일 때 '주의보', 각각 25㎎/㎥ 이상·5000개/㎖ 이상일 때 '경보'가 발령된다.

남조류는 간암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을 분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독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환경부도 클로로필-a 수치와 별도로 기준을 정해 관리하고 있다. 남조류는 여름철 낙동강 중·하류 호소에서 녹조류와 함께 자주 발생한다.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24일 오후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낙동강유역환경청 앞에서 낙동강 간암 유독성 남조류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김구연 기자

그러나 환경부는 4대 강에 대해선 조류경보제 대신 수질예보제를 적용해 "수질에는 문제가 없다"는 해명만 되풀이해왔다.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로 구분되는 수질예보제에서는 클로로필-a가 70㎎/㎥를 넘어야 가장 낮은 수준인 관심 단계에 들어간다.

특히 합천창녕보와 창녕함안보 하류에는 칠서취수장·본포취수장 등 6개 취수장이 있고, 이곳에서 지난달 심각한 녹조 현상이 발생했다.

장하나 의원은 "최근 창녕함안보에서 삼랑진까지 낙동강 하류 전역에서 발생한 녹조현상은 결국 유해 독성물질 남조류 대량증식이 있었음을 말해준다"며 "창녕함안보 상하류의 본포 취수장과 칠서 취수장 등 낙동강에서 식수를 공급받는 국민의 건강을 위해서 조류를 제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4대 강 사업저지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가 지난 4일 본포취수장에서 취수한 시료를 부산가톨릭대 김좌관 교수가 수질 검사한 결과, 조류 증식 원인자인 총질소와 총인이 각각 평균 8.51㎎/L·0.56㎎/L로 나타났다. 이는 91년 페놀사태 이후 낙동강오염총량관리제가 시행되는 지금까지 20여 년간의 연평균치인 3.66㎎/L, 0.145㎎/L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지난달 29일 창원시 본포취수장 옆 낙동강 녹조./경남도민일보DB

경남본부는 24일 낙동강유역환경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물을 확보하고 수질을 개선한다던 4대 강 사업은 거짓"이라며 "4대 강 사업에 협조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식수원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고 더 이상 변명으로 넘기려 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라도 안전하고 건강한 식수원 관리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며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주어진 마지막 기회"라고 덧붙였다.

경남본부는 또 "온통 녹색페인트처럼 변한 강물, 더구나 간암을 유발하는 남조류가 범벅된 물이 그대로 창원시민의 먹는 물을 취수하는 본포취수장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는데 도대체 창원시와 경남도는 무엇을 하고 있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식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창원시 차원의 민관협의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낙동강 정수장들에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이 돼 있어 조류 발생으로 말미암은 수돗물 공급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