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이후 피해 건수·금액 확정
추가 특별재난지역 선포 관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이 지난달 16~20일 집중호우에 따른 경남지역 피해 조사를 일단락했다.
각 시군의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 입력 기간 연장에 따라 이달 5일 이후 피해 건수와 금액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 피해 규모는 추가 특별재난지역 선포 기준이 될 전망이다.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 경남조사반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진주·의령·하동·산청·함양·거창·합천·밀양·창녕 등 9개 시군을 대상으로 피해 조사를 진행했다.
경남조사반은 70명 이상으로 구성돼 국가시설 전수조사를 했고, 지방시설은 추정 피해액이 3000만 원 이상이면서 복구비가 5000만 원 이상인 시설을 중심으로 정밀 조사를 했다. 사유시설 피해는 각 시군이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부처가 표본조사로 정확성을 점검했다.
박완수 도지사는 2일 진주시 문산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을 찾아 조사 상황을 점검했다. 박 지사는 이상원 행정안전부 합동조사단 경남조사반장에게 "피해 주민 등 현장 목소리를 정확히 반영해 보고될 수 있도록 해달라"며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어려운 경우 읍면 단위로라도 지정될 수 있도록 세밀한 현장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원 경남조사반장은 "정확한 피해 조사를 위해 체계적인 인력 교육과 전문 인력 보강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복구·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박 지사는 "재난 상황이 반복되고 심화하는 만큼 과거의 행정 틀을 바꿔야 한다"며 "대통령께서도 국민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강조하는 만큼 건설·도로·하천 등 분야에서 안전 중심으로 행정을 전환하고, 행정 조직이 시대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경남도 차원에서 전체적인 기준을 마련해 시군 행정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박 지사는 지난달 31일 창원시 진해구 장천동 일원 사방사업 현장을 점검하기도 했다. 박 지사는 "최근 재난은 예전과는 양상이 다르기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번과 같은 극한호우에서는 토사뿐만 아니라 벌목한 나무까지 내려와 사방댐 기능을 마비시킬 수 있다"며 대책을 주문했다.
3일 기준 도내 재산 피해는 5만 7081건 7497억 원 규모로 잠정 집계됐다. 이 가운데 도로·하천·산사태·수리시설 등 공공시설이 3159건 6112억 원 규모이며 침수·파손 주택과 농수축산 등 사유시설이 5만 3922건 1385억 원 규모다.
도로·상하수도·유선 통신·전기는 모두 응급복구가 완료됐다. 대피했던 이들 가운데 208가구 347명(산청 243명·의령 67명·합천 30명·밀양 6명·함안 1명)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번 폭우에 따른 사망자는 주말 사이 치료를 받던 60대 남성이 숨지면서 13명에서 14명으로 늘었다. 1명이 실종된 상황이며 중상자는 4명이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