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이 술술]〈박경리 시의 생명관 연구 〉(2025)
최유희 중앙대 교양학부 국어 영역 부교수 발표

박경리에게 시 쓰기는 내면 고백이자 넋두리
시에서 비인간 자연 의인화 해 생명 범주 확장
자연과 균형ㆍ공생 모색하는 자세 드러나

[학술이 술술]은 우리 지역에서 나오거나, 지역을 다룬 학술 논문, 연구 보고서를 쉽게 풀어 설명하는 연재입니다. 배움은 모두의 것이니까요.

소설가 박경리에게 시는 솔직한 고백이었다. 그는 소설 쓰기에 몰두하며 생애를 보냈다. 책 스무 권 분량의 <토지> 외에도 장편소설 19편, 단편소설 48편을 썼다. 동시에 그는 시인이었다. <못 떠나는 배>(1988)·<도시의 고양이들>(1990)·<자유>(1944)·<우리들의 시간>(2000) 시집 4권으로 시 170여 편을 발표했다. 박경리는 산문집 <Q씨에게>(1993)에서 소설로 다하지 못한 말을 시로 토로한다고 고백했다.

최유희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국어 영역 부교수는 박경리의 시를 이렇게 봤다.

"소설 작업에 작가적 엄밀성이나 역량을 총집결했다면 시 작업에서는 스스럼없는 내면 고백이나 넋두리, 혹은 사물과 세상에 관한 단상이나 견해를 자유롭게 드러냈다."

최 교수는 최근 박경리 시를 통해 작가의 생명관을 분석한 논문 <박경리 시의 생명관 연구, 생기적 유물론을 중심으로>(2025)를 발표했다. 미국 신유물론 철학자 제인 베넷이 주장한 '생기적 유물론'을 분석 틀로 삼았다.

하동 평사리 박경리문학관에 있는 박경리 소설가 동상. /박경리문학관
하동 평사리 박경리문학관에 있는 박경리 소설가 동상. /박경리문학관

비인간으로까지 넓힌 생명 의식 = 박경리에게 인간이란 홀로 독립된 게 아니라 비인간과 뒤엉켜 있는 존재다. 비인간이란 동식물을 물론 사물을 아우른 개념이다. 그가 쓴 시 '거룩한 의식'을 보자.

"저녁밥 대신/ 창가에 앉아/ 콩을 까먹는다 (중략) 청춘 한가운데선/ 본능으로/ 밥을 먹었지만/ 이제는 알게 되었다/ 삶을 씹는/ 거룩한 의식이라는 것을"

여기서 콩을 먹는 행위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삶을 곱씹어 행하는 '거룩한 의식'이다. 이어 시 '신산에 젖은 너이들 자유'에선 새를 지나가는 나그네이자 친구로 인식한다.

"새야 한 철이나마/ 배부르게 먹고/겁 없이 놀다 가려무나/ 농약 없이 가꾼 땅/ 너이들 위해/ 얼마나 다행이냐 (중략) 새야/ 너는 내 형제였더냐/ 너가 자유롭고 허기지지 않는다면/ 나 또한 자유롭고 허기지지 않을 것을/ 새야" 

박경리는 새가 자유로워야 자신이 자유롭고, 새가 배곯지 않아야 자신도 허기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는 인간과 비인간을 동등하게 생각하는 자세다. 

박경리는 오히려 비인간이 되길 열망했다. 시 '시간 1'과 에선 강물·구름·싱그러운 풀이 되고 싶다고 노래했고, 시 '내 모습'에선 꽃·나비로 태어나고 싶은 바람을 드러냈다. 이런 은유는 자연물에 이입해 자신을 위로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렇게 박경리 시엔 비인간인 자연을 사람처럼 묘사하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이런 의인화는 인간중심주의에 대항하고 있다. 최 교수는 "시적 화자가 자연을 의인화하여 생명 범주를 넓혀 나가고 있다"며 "인간 존재 자체가 비인간 존재로 이뤄져 있음을 인지하고 이들 존재와 공존하려면 이들을 행위자로 인식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통영 소설가 박경리 묘소 음수대에 적힌 그의 시. /경남도민일보 DB
통영 소설가 박경리 묘소 음수대에 적힌 그의 시. /경남도민일보 DB
통영 서피랑마을 골목에서 만난 박경리 문장. /경남도민일보 DB
통영 서피랑마을 골목에서 만난 박경리 문장. /경남도민일보 DB

균형 되찾아 공생 꿈꿔 =  박경리는 자신을 둘러싼 만물에 생명이 있다고 봤다. 그에게는 모든 물질이 살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생명을 축복하고, 인간과 비인간을 모두 섬기는 자세가 필요한데, 그러려면 균형을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산문집 <생명의 아픔>(2004)에서 이렇게 경고했다. 

"우주가 존재하고 지구를 존재하게 하는 창조적 균형을 넘어서는 것은 이 세상 아무 곳에도 없다. (중략) 새로운 균형, 질서를 찾지 못한다면 황금과 지폐가 난무하는 속에서 서서히 죽어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박경리가 77세에 발간한 문학과 환경 관련 잡지 <숨소리>(2003)는 스스로 '창조적 균형'을 찾아가는 방법 중 하나였다. 시에서 드러난 사유를 실행한 사례이기도 하다. 이처럼 작가가 공생을 의식하고, 실천한 이유는 '생명'이라 이름 붙여진 시 두 편에서 잘 드러난다.

"삐! 삐!/ 새가 숨어서 운다// 삐! 삐!/ 가녀리게 운다 (중략) 겨우내 새는/ 뭘 먹고 살았는지// 준열한 천지가/ 내 눈앞에 아득하구나"

"생명은 무엇이며/ 아아 생명은 무엇이며/ 사는 것은 어떤 걸까// 서로가 서로의 살을 깎고/ 서로가 서로의 뼈를 깎고/ 살아 있다는 그 처절함이여"

시에 등장하는 생명은 울고 있거나, 처절한 모습이다. 박경리에게 생명의 울음과 처절함은 반드시 공존으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였다. 최 교수는 "작가는 균형을 찾고자 몸부림치는 모든 존재 즉, 인간과 비인간의 얽힘 속에서 '울음', '능동성'을 바탕으로 공존으로 향할 수 있음을 역설한다"라고 설명했다.

/백솔빈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