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소된 가구에 6000만 원 추가·역대 최고
농작물·산림작물 지원 단가 실거래가 수준
두양리 은행나무 올해 예산으로 긴급 보수

산청군 한 주민이 산불로 피해를 본 건물을 바라보고 있다. /경남도민일보 DB
산청군 한 주민이 산불로 피해를 본 건물을 바라보고 있다. /경남도민일보 DB

산청·하동지역 산불 피해 복구 계획이 확정됐다. 주택 피해가 있는 가구에는 생활안정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한다.

경남도는 이달 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심의를 거쳐 산청·하동 산불 피해액이 287억 원으로 정해지고 복구비는 총 386억 원(국비 243억·도비 63억·시군비 80억 원)으로 결정됐다고 전했다.

올 3월 21~30일 산청·하동 산불로 4명이 숨지고 10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산림 3397㏊(축구장 4758개 규모)가 불에 탔다. 사유시설은 주택 28동, 농축산시설 104건, 농·산림작물 399㏊ 등 피해가 발생했고, 공공시설은 산림시설, 국가유산, 도로, 하천 등 피해가 있었다.

사망자 유가족과 부상자에게는 이번 복구비와 별도로 지원 기준에 따라 장례비와 구호금을 지원한다. 특히 산불 진화 과정에서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공무원과 진화대원 유족에게는 관련 법령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한다.

복구비 가운데 생활안정 지원책으로는 산불로 탄 주택에 가구당 기존 지원금 2000만~3600만 원에 추가 지원금 6000만 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이번 추가 지원금은 국비로 그간 정부에서 최대로 상향 지원했던 금액(2000만 원) 3배 규모다.

피해가 극심한 사과·복숭아·단감·체리·배·마늘 6개 농작물과 밤·고사리·조경수·두릅·호두·약용류·더덕·떫은감 8개 산림작물은 지원 단가를 실거래가 수준으로 하고, 지원율도 애초 50%에서 100%로 상향했다.

산불 피해가 있는 가축농가에는 가축 입식비를 기존 50%에서 100%로 올려 지원하고, 농기계와 농·축산시설은 기존 35%에서 각각 50%와 45%로 올려 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신속한 복구를 위해 도비 47억 원을 우선 편성했으며, 조림 복구 등 장기 사업은 내년 본예산에 반영할 방침이다.

앞으로 국유림·사유림 조림, 산림시설 복구, 지방도로·하천 정비, 문화유산 긴급보수가 추진된다. 특히 피해 문화유산인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는 올해 긴급보수 예산을 활용해 조속히 복구하기로 했다.

산불로 피해가 있는 도민을 위한 다양한 간접 혜택도 있다. 특별재난지역인 산청군과 하동군에는 △국세 납부 유예 △지방세 기한 연장 △국민연금 납부 예외 △재해복구자금 융자 △긴급경영안정자금 융자 △상하수도요금 감면 등 24가지 혜택뿐만 아니라 △국민건강보험료 경감 △전기·통신요금 감면 등 12가지 혜택이 추가로 제공된다.

/이동욱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