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4시 기준 진화율 70%…바람이 관건
산불영향구역 1368㏊, 인명피해, 589명 대피

산청 시천면 산불 진화작업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다. 21일 오후 3시 26분께 발생한 산불은 23일 오후 4시 기준 70%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 헬기가 산불을 끄고 있다. /김태섭 기자
산청 시천면 산불 진화작업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다. 21일 오후 3시 26분께 발생한 산불은 23일 오후 4시 기준 70%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 헬기가 산불을 끄고 있다. /김태섭 기자

 

산청 시천면 산불 진화작업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다. 21일 오후 3시 26분께 발생한 산불은 23일 오후 4시 기준 70% 진화율을 보이고 있다.

산불은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야산에서 났다. 21일 강한 바람을 타고 산불이 확산하자 소방당국은 헬기 20대, 진화인력 304명을 투입해 초동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건조한 날씨와 바람 탓에 불이 확산하며 같은 날 오후 4시 20분에 산불 1단계를 발령했으며, 차례로 6시 10분 2단계, 6시 40분에 3단계를 발령했다. 산불대응 3단계는 초속 7m 이상 강풍이 불고 예상 피해 면적이 100㏊ 이상에 달하며, 진화에 24시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일 때 발령한다.

산청 시천면 산불은 올해 처음 대응 3단계가 발령된 대형 산불이다. 23일 오후 4시 기준 산불영향 구역은 1368㏊이며 총 화선은 43㎞이다. 남은 불은 13㎞로 진화 중이고, 30㎞는 불을 껐다. 소방당국은 23일 헬기 28대를 비롯해 인력 2252명과 소방장비 244대를 투입해 진화에 나섰다. 해가 지면 헬기 운용이 어려워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동원해 산불 진화에 나서고 있다.

산불은 22일 오전 진화율 75%를 보이며 주불 진압까지 목전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바람이 문제였다. 22일 오후 들며 건조한 날씨에 바람까지 거세졌다. 산 아래쪽은 초속 2m 내외 풍속을 보였지만, 산 정상부는 초속 10~15m 풍속을 보이며 산불 진화에 변수가 됐다. 바람 탓에 고전한 진화 작업은 답보 상태를 보였다. 2일 오후 2시께 산청 시천면 산불이 하동군 옥종면으로 옮겨붙으며 두양마을 방향으로 확산했다. 이 불로 경남도 기념물로 지정된 수령 900년 '두양리 은행나무'가 전소됐다. 

산불은 22일 오전 진화율 75%를 보이며 주불 진압까지 목전에 두고 있지만, 오후 들며 바람이 다시 거세지고 헬기가 철수하자 인근 마을로 확산했다. 22일 오후 9시께 산청군 단성면 자양마을 입구에서 본 산불 모습. /김태섭 기자
산불은 22일 오전 진화율 75%를 보이며 주불 진압까지 목전에 두고 있지만, 오후 들며 바람이 다시 거세지고 헬기가 철수하자 인근 마을로 확산했다. 22일 오후 9시께 산청군 단성면 자양마을 입구에서 본 산불 모습. /김태섭 기자

 

해가 지고 헬기가 철수하자 다시 산불이 확산하기 시작했다. 산불 확산세는 무서웠다. 불이 꺼진 지역에서도 다시 불씨가 되살아나 인근 지역으로 확산했다. 오락가락하던 진화율은 22일 오후 10시 산불 진화율 25%까지 내려갔다. 날이 밝자 헬기가 투입돼 다시 진화율을 높이고 있다.

인명사고도 발생했다. 22일 시천면 일대 진화작업에 나섰던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 8명과 인솔 공무원 1명 등 9명은 거세진 산불 현장에 고립됐다 변을 당했다. 이들은 역풍으로 현장에 고립됐으며, 산불진화대원 3명, 공무원 1명 등 4명이 사망하고 나머지 인원 5명은 화상을 입었다.

이번 산불 원인을 두고 풀을 베는 과정에서 생긴 예초기 불꽃 가능성이 제기됐다. 박완수 도지사는 21일 오후 진행된 브리핑에서 "이번 산불은 산불 발생 지역 한 목장에서 풀베기 작업 중 예초기에서 불꽃이 튀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23일 마을 인근 도로까지 내려운 불을 소방관이 
23일 마을 인근 도로까지 내려운 불을 소방관이 끄고 있다. /김태섭 기자

 

이번 산불로 피해도 늘고 있다. 사망 4명, 부상 5명이 발생했으며, 주민 589명이 산청동의보감촌 등으로 몸을 피했다. 이 밖에도 주택 7채를 비롯해 46곳에 시설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22일 산청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피해 회복 지원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를 내린 것이다. 대형 산불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된 것은 이번이 6번째다.  

/김태섭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