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시민사회계, 윤석열 체포 촉구 기자회견
"헌법 부정하는 자 예외 없이 체포·처벌해야"
시민사회계는 지치지 말고 연대의 힘으로 민주주의를 회복해 나가자고 다짐하고 있다.
윤석열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경남비상행동은 6일 오전 경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경찰은 모든 역량을 동원해 (윤석열 대통령을) 체포하라”라며 “그것이 내란 종식에 기여하는 길이자 지금의 책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현장에서 (윤 대통령이) 체포에 저항하면 그에 상응하게 대처하라”라며 “헌법을 부정하는 자는 예외 없이 체포하고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3일 대통령 관저가 있는 서울 용산 한남동 일대에서 대통령 체포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경남 노동시민사회 소속 170명이 집회에 참여했다. 이들은 밤새 자리를 지키면서 윤 대통령 지지자와 대치했다.
당시 집회에 참여했던 최희태 민주노총 경남본부 기획정책국장은 “윤 대통령 지지자들과 현장에서 시비가 붙기도 하고, 육교 위에서 집회 참가자를 향해 침을 뱉는 사람도 있었다”라며 “민주노총이 관저 앞에서 행진하고 집회할 때 많은 시민이 결합했다”고 설명했다.
최 국장은 당시 상황을 ‘주경야투’라고 표현했다. 집회 참여자들은 아침에는 출근하고, 밤에는 집회 현장을 지키는 상황이었다. 그는 “계엄에 대한 분노, 일상의 회복, 새로운 세상에 대한 갈구가 어우러진 광장의 에너지를 느꼈다”고 말했다.
남태령에서의 연대가 분노로 이어지는 모양새였다. 집회에는 지난해 12월 서울 남태령에서 농민 트랙터 상경 집회를 지지한 이들로 가득했다.
김재영 전국농민총연맹 부산경남연맹 사무국장은 “집회 현장 발언을 보면 남태령 때도 갔고, 지금도 함께 한다거나 남태령에는 못 가서 지금 왔다는 얘기가 많았다”라며 “남태령 집회 이후 윤석열 퇴진 집회가 변화했다는 것을 느낀다”고 말했다.
김 사무국장은 “집회 현장 발언을 할 때 퀴어나 젠더에 대한 정체성을 말하면서 자기를 소개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 사람들은) 우리도 이제 나와야 한다, 우리 같은 사람들이 발언해야 한다고 생각하더라”라며 “남태령의 연대가 계속 이어지는 것 같아 거기서 오는 감동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다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