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없는 수사과에 9개월 동안 맡겨 놔
공천 개입 의혹 커지자 지난달 본격 수사
미래한국연구소 등기 대표 자택 압수수색
창원지검이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 사건을 검사가 없는 수사과에 9개월 동안 맡겨놔 늑장 수사 비판을 받고 있다.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 사건은 지난달에서야 창원지방검찰청 수사과에서 형사4부로 배당됐다.
창원지검 수사과는 검사 없이 검찰 수사관으로만 구성된 부서로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사건이 주로 배당된다. 검찰 수사관이 수사한 다음 중요한 사건이라는 판단이 나오면 경찰처럼 검사에 송치하는 식이다. 검찰은 명 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한 차례 조사했다.
창원지검은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이 커지자, 지난달에서야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지난해 12월 경남도선거관리위원회는 김영선 전 국회의원이 명 씨에게 9000여 만 원을 전달한 점을 수상히 여겨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고발된 지 9개월 만에 본격적인 수사에 나서면서 늑장 수사 비판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창원지검은 “수사 중인 사안이라 답변이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다.
검찰은 지난달 30일 명태균 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하고,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명 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한 시점은 22대 총선 공직선거법 공소시효를 불과 열흘 앞둔 때였다.
이어서 지난 17일에는 대검찰청과 부산지검에서 검사를 1명씩 파견받았다. 25일 오전에는 명 씨와 함께 미래한국연구소를 운영한 것으로 알려진 김모 씨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창원지검의 늑장 수사 논란은 지난 17일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박균택 국회의원은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은 창원지검에서 수사가 어려울 것 같으니 서울로 사건을 옮겨 특별수사팀을 꾸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유미 창원지검장은 “최선을 다해 수사하고 있으니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김다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