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기림일 때와 달리 강경한 발언
사도광산 관련 윤 정부 태도도 비판
경남도에 위안부 역사관 건립 촉구
"역사 진실 지키는 일은 시대 과제"
경남지역 시민사회가 열두 번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을 맞아 윤석열 정부 규탄 목소리를 쏟아냈다. 현 정부 들어 일본군 '위안부' 강제성을 부정하는 인사가 정부 요직과 역사 관련 기관장을 차지하는 상황을 두고는 "조선총독부 시절을 방불케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마창진시민모임을 비롯한 도내 47개 단체는 14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한 사과를 촉구했다.
시민사회는 앞서 열렸던 기림일 행사 때와 달리 강경한 발언을 이어갔다.
이들은 "일본의 역사 왜곡과 훼손이 도를 넘겼는데도 우리 정부는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고 있다"며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국가 책무를 저버렸다"고 말했다.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한 윤석열 정부 입장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일본이 전시물에 조선인 강제노동 의미를 담지 않았음에도 정부가 세계유산 등재에 동의한 것은 편향된 역사 인식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시민단체는 "전범국의 전쟁 범죄 부정과 은폐에 자발적으로 부역한 꼴"이라며 "한국 정부는 사도광산 강제노역 피해자들과 민족의 배신자"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경남도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가 위안부 역사관 건립 계획을 일방적으로 무산시켰다는 비판이다.
시민단체는 "일본 정부와 역사 수정주의자들이 위안부 역사를 지우고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현실"이라며 "역사 진실을 지키고 제대로 전달하는 일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두의 피할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들은 △일본 정부의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에 대한 진정한 사죄와 배상 △소녀상 철거 공작 즉각 중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보호법 개정 △경남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조성 계획 재수립 △위안부 역사 부정과 피해자 모욕 중단 등을 요구했다.
한편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시작은 1991년 8월 14일로 이날은 고 김학순(1924~1997년) 할머니가 세상에 처음으로 '위안부' 피해 사실을 알린 날이다. 이후 그의 용기와 정신을 기리고자 2012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이 날을 '세계 위안부 기림일'로 지정했다.
/박신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