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40.4% 감축
5개 분야 추진전략 23개...도시건물 중심 과제 많아
도, 당일 공청회에서 도민 의견 수렴해 최종안 확정
경남 전국에서 6번째로 온실가스 배출량 많지만
온실가스 흡수량은 전국 3번째로 많아 효율성 커
2021년 당시 목표치는 60%...강원, 경북보다 낮아
경남도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보다 40.4% 줄이는 중장기 계획안을 7일 발표하고 공청회를 연다.
도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던 2021년 당시 2030년 감축 목표액 60%(2017년 대비)보다 줄었고 다른 광역시도보다 감축 목표치가 낮아 도민이 어떻게 평가할지 주목된다. 도는 7일 오후 2시 도청 대강당에서 ‘1차 경남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공청회를 한다.
경남은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6번째로 온실가스 총배출량(2021년 기준)이 많은 곳이다. 온실가스 흡수량은 전국 3위다. 전국에서 온실가스 흡수량이 가장 많은 강원도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18년보다 97% 줄이겠다고 밝혔고 흡수율 2위인 경북은 온실가스 총배출량 43.2%를 감축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전북도 2030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2018년보다 최대 43% 감축하기로 했다. 이들 자치단체는 최근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안을 확정했다.
도가 제시한 온실가스 40.4% 감축은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율 40%와 비슷한 수준이다. 도는 환경부가 지난해 4월 마련한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토대로 경남 기본계획안을 마련했다.
구체적으로 △도시건물 △수송교통 △농축수산 △순환경제 △산림녹지환경 등 5개 부문에서 추진전략 23개, 중점과제 46개, 세부사업 88개를 추진할 계획이다. 공공건축물 개선, 주민참여형 마을공동체 발전소 조성, 수소 생산·충전 설비 확충, 전기차 보급, 승용차 요일제 시행, 온실가스 감축 영농법 개선, 곤충산업 활성화 사업, 플라스틱 재활용률 향상, 숲 가꾸기 등을 담았다.
도는 공청회에서 나온 도민, 시민단체 등 의견을 반영해 내달 기본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공청회는 박진호 경남탄소중립지원센터장이 도 계획안을 설명한 후 질의·응답 형식으로 진행된다.
경남도 탄소중립 달성 관련 평가는 최근까지 좋지 않았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1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벌인 녹색건축 평가 결과에서 중하위 수준에 머물렀다. 녹색건축물확산 부문 ‘보통’, 건물에너지성능 부문 ‘보통’, 정책이행도 부문 ‘미흡’이었다.
녹색건축정책 추진 이행도는 녹색건축 활성화 정책 이행을 위한 전담인력 확보 수준(인적역량),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해 투입되는 예산 규모(예산비중), 녹색건축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 조례 마련 수준(정책기반), 녹색건축 우수사례 등 4개 세부 지표를 활용해 평가하는데, 도는 정책기반에서 최하위 점수를 받았고 예산비중에서 울산 다음으로 낮은 점수였다. 환경부가 지난해 발간한 <지자체 탄소중립 우수사례집>에서도 경남지역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
도 관계자는 “자치단체별로 배출량과 흡수량이 다르고 산업 구조도 달라서 목표치를 일률적으로 비교하기 어렵다”며 “국가 기본계획과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해 경남도 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탄소중립 사회로 가려면 정부와 경남도, 도민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며 “공청회 때 다양한 의견을 듣겠다”고 했다.
/이미지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