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지난해 8월부터 이달까지 4차례에 걸쳐 핵오염수 3만 1200t을 바다에 버렸다. 30년 동안 134만 t을 버린다고 하지만 지금도 매일 90t의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어 일본 내에서도 100년이 걸릴 것이라고 추측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과학적으로 안전하다고 했지만 보고서에 책임은 지지 않는다고 명시하여 신뢰성을 잃었다.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하여 태평양 연안국들의 반대에도 일본은 윤석열 정부의 지지를 받아 바다 방류를 시작했다. 한국민 84%가 반대하는 바다 방류를 윤석열 정부는 왜 일본 정부의 편을 드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22대 국회의원 후보들의 핵오염수 논쟁은 사라졌다. 본보가 분석한 후보자의 답변 속에서 유권자들이 길을 찾아야 한다.

우선 국민의힘은 핵오염수보다 비과학 정보 피해가 크다는 의견을 보인다. 박대출 후보는 3859건 조사 결과 방사능 농도도 세계보건기구(WHO) 기준 이하로 유지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한다. 이종욱 창원 진해 후보, 강기윤 창원 성산 후보, 윤영석 양산 갑 후보 등은 오염수 감시 체계 강화와 자료 공개 강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은 정부가 오염수 안전성을 무책임하게 홍보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허성무 창원 성산 후보는 오염수 바다 방류는 런던의정서와 비엔나협약을 어긴 행위이기 때문에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에는 다행히 전체 수산물 생산량이 줄지 않았고 소비 위축도 없었다. 우리나라 바다까지 오염수가 오는 데 4∼5년이 걸리고 아직은 안전하다고 믿는 사람들이 지금 많이 먹어두자는 심리 때문으로 분석한다.

그러나 핵 오염수는 30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방류하고 삼중수소는 반감기가 12.3년, 세슘137은 37년이다. 최소한 60∼300년 후에나 안전하다고 할 수 있어 어느 시점에 불현듯 기형 물고기가 발견되거나 사람에게 치명적인 사태가 올 수 있다.

정치인은 눈앞의 상황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국민에게 미칠 영향까지 살펴야 한다. 핵오염수 바다 방류는 이제 시작일 뿐이다. 정부와 국민이 힘을 합치면 막을 수 있다. 유권자는 매의 눈으로 후보자를 살펴보라.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