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묘>(감독 장재현·2024)
일제강점기 아픔 녹였지만
보는 이만의 세계 대입하면
메시지 더욱 확장할 수 있어

영화 〈파묘〉 한 장면. /갈무리  
영화 〈파묘〉 한 장면. /갈무리  

'오컬트'란 주술이나 유령처럼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이고 신비로운 것들을 탐구하며 거기에 어떤 원리나 규칙이 있다고 여기는 문화를 말한다. <파묘>가 연일 화제에 오르고 장재현 감독이 'K오컬트의 장인'으로 수식되면서 오컬트는 대중매체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는 단어가 되었다. 그럼에도 단어가 풍기는 뉘앙스 때문에 여전히 생소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공포영화 중에 귀신이나 퇴마사가 등장하면 흔히 오컬트로 분류되기 때문에 오컬트 영화는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장르다.

장재현 감독의 오컬트는 <파묘>를 통해 독자적인 지위를 확고히 한다. 대개의 공포영화가 비극적이고 미스터리한 사건 그 자체를 묘사하며 공포감을 자극하는 데 치중한다면, 장 감독의 작품들은 사건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인물이 전면에 배치된다. 전자는 귀신으로부터 해를 입는 사람에게 몰입하게 하고, 후자는 미스터리를 해결해 가는 사람의 발자취를 따라 걷게 만든다. <사바하>나 <파묘>를 관람하고 나오는 끝맛이 단순한 공포감보다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이유다.

영화 〈파묘〉 한 장면. /갈무리  
영화 〈파묘〉 한 장면. /갈무리  
영화 〈파묘〉 한 장면. /갈무리  
영화 〈파묘〉 한 장면. /갈무리  

<검은 사제들>과 <사바하>에서 각각 천주교와 불교를 다뤘던 장재현 감독은 <파묘>에 이르러 음양오행에 기초한 풍수지리로 땅을 이야기한다. 미국 LA의 어느 부잣집 장손으로부터 거액의 의뢰를 받은 무당 '화림'은 그들 집안에 대물림되는 병의 원인이 조상의 묘라는 걸 알아채고, 곧바로 한국 최고의 풍수사 '상덕'과 장의사 '영근'을 찾아가 함께하길 제안한다. 관을 옮기던 중 대살굿에 참여했던 인부의 실수로 영화의 미스터리와 공포는 절정에 치닫고, 사건이 일단락될 즈음 묫자리 아래에서 관이 하나 더 발견되면서 인물들은 또 다른 국면을 맞는다.

어떤 일을 바로잡는 게 나에게 큰 해를 입힐 수도 있다면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까. 그대로 묻어둔다 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면 말이다. 바로잡아야 했지만 그러지 못했던, 또는 몰라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파봐야 좋을 것 없을 빛바랜 진실을 상덕은 기어코 끄집어 올린다. <파묘>는 현대를 배경으로 일제강점기를 지나온 우리의 아픈 단면을 오컬트에 녹여 대중적이고도 오락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상덕의 태도가 보여주는 메시지는 쓰고도 단호하다. 최민식 배우 주연가 주연한 <대호>에서 그는 일본으로부터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를 지키던 포수 '천만덕'을 그려내며 "총을 들어 지키고 싶은 게 있었다"고 말했다. 그 결의와 동등하다고 하긴 어렵겠지만, 같은 배우가 연기한 <파묘>는 마치 "곡괭이를 들어 지키고 싶은 게 있었다"고 말하는 듯하다.

인물들의 이름이나 배경 설정에서 민족주의적 요소가 가미되긴 하지만 그렇다고 이 영화를 단순히 반일의 감정으로만 치부할 수는 없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지 않더라도 현대에 마주하는 미스터리한 슬픔 앞에서 우리는 자주 진실보다 현실에 눈 돌리곤 한다. 장재현 감독의 이야기가 서구 종교를 거쳐 풍수지리에 도달하며 진정한 K오컬트 세계관으로 외연을 확장하듯, <파묘>를 각자의 시선으로 각자의 세계에 대입해 가며 메시지를 확장하는 재미를 느껴보길 바란다.

/전이섬 작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