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경남도의회 본회의 자유발언에서 장기이식 활성화를 위해 행정기관도 이젠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뇌사 시 장기 기증을 희망한다는 등록률이 전체 인구의 4.5%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한번 되짚어 볼 만한 대목이다. 장기기증 문화가 본격적으로 우리사회에 소개되면서 민간 활동기관들이 등장한 시기는 1990년대부터이다. 우리 사회에서 장기기증 문화가 여전히 생소해 보이는 것도 짧은 역사에서 기인한다. 또한 장기기증이라는 용어는 뇌사 및 사후기증과 같은 방식뿐만 아니라 타인을 위해 자신의 신체 일부를 기증하는 방식도 포함한다. 오래전부터 언론 사회면에서 주로 미담으로 이야기되던 장기기증이 바로 대표적인 보기이다. 그럼에도 사후 장기기증의 처리 과정을 둘러싸고 보호자인 가족들의 불만이나 반대도 간혹 나오다 보니 장기기증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은 여전히 낮은 상태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장기기증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삼는 게 아니라 개인적 결단의 문제로 인식하는 경향도 있다. 장기기증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이나 오해를 풀려면 이젠 행정관청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지 않느냐는 주장이 나올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는 장기기증 문화가 담고 있는 생명 나눔이라는 말부터 생경해하는 전통적인 장묘문화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승을 떠나 저승으로 가는 망자의 신체 일부를 훼손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범죄라는 장묘문화의 뿌리가 한국인 의식 저변에 깔려 있다. 게다가 망자의 신체가 모셔진 장소를 온전히 보존하는 일은 후손의 책무라는 유교적 도덕관념까지 더해지다 보니 새로운 사고방식이나 문화가 들어설 여지가 적어 보인다. 그러나 장기기증을 이제는 사회문제의 하나로 볼 필요는 있다. 왜냐하면 2018년과 비교하여 2022년 장기이식 대기자는 1만 명 넘게 늘어났지만 기증자 수는 822명밖에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식될 장기를 기다리는 환자는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지만, 이식 장기의 공급 자체가 정체되는 현실을 그저 운명이라고 탓할 순 없다. 이제라도 국민에게 장기기증에 대한 내용을 제대로 홍보하고 교육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