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말 기준 101만 4544명
2024년 '100만 붕괴' 전망
특례시 지위 상실 우려도
시, 빅데이터로 돌파구 모색
세밀히 분석해 종합대책 수립

창원시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2010년 통합 창원시가 출범했을 때 110만 명까지 늘었던 인구는 올해 2월 101만 명대로 줄었다.

지난달 기준 창원시 인구(외국인 제외)는 101만 4544명. 5월보다는 817명이 줄었고, 1월과 비교하면 6049명이 감소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창원 인구는 올해 안에 100만 대로 진입해 2024년에는 100만 인구가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

인구 감소는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나 창원시에는 ‘특례시 지위 유지’라는 또 다른 문제가 걸려있다.

지방자치법에 따라 대도시 가운데 등록 외국인과 외국 국적 동포를 포함한 인구가 2년 연속 100만 명을 넘으면 특례시로 인정된다. 분기별 평균이 2년 연속 100만 명에 못 미치면 특례시 자격을 잃는다.

특례시 인구 기준(주민등록 인구+외국인)으로 보면 지난 5월 기준 창원시 인구는 103만 3665명이었다. 하지만 이 역시도 2026년 무렵에 100만 명대가 무너질 것으로 보인다. 특례시 지위를 잃으면 그동안 확보한 권한도 반납해야 한다.

비상이 걸린 창원시는 지난달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구감소 원인 진단에 들어갔다. 11월까지 최근 5년치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인구감소 원인을 찾겠다는 취지다. 시는 행정안전부·통계청·국민연금 등이 보유한 공공데이터뿐 아니라 통신사·카드사 등이 보유한 민간데이터도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이들 자료를 조건에 따라 분석하면 시간대별 거주 인구 확인, 유입·유출 인구 현황 등도 세밀하게 확인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인구정책을 수립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시는 청년 인구 유출 방지에도 행정력을 집중한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최근 <경남도민일보>와 인터뷰에서 인구 유출 해결 복안으로 청년 일자리를 강조했다.

홍 시장은 “청년들이 창원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을 위한 일자리가 부족해서다. 특히 창원에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전문인력 양성 학과가 별로 없다”며 “예를 들면 의대, 약대, 치대, 수의학과도 없고 법학전문대학원도 없다. 그러다 보니 우수한 지역 인재들이 창원을 떠나게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가산단에 필요한 인력도 전문적인 인재양성·공급 시스템 보완이 시급하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창원의 지속 가능한 발전은 쉽지 않다고 판단된다”며 “하반기부터는 창원 또는 경남에 있는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이 부분에 대해 총장들과 만나 배우면서 좋은 답을 찾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언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