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해양드라마세트장 인근에서 청어로 추정되는 물고기 집단폐사 사건이 처음으로 접수되었다. 이후 1일에는 진동면 도만항·다구항 일대, 2일 들어서는 3.15해양누리공원으로 물고기 집단폐사 사건이 확산했다. 창원시가 지난 3일 기준으로 수거한 폐사체 양이 70t에 달하면서 원인을 두고 추측과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이번 물고기 폐사 사건의 특징은 대부분 청어류의 어린 물고기라는 것이다. 여러 종의 어류가 특정 장소에서 집단 폐사하는 어류 폐사 사고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정 어류에 국한해 집단 폐사가 산발적으로 나타나다 보니 기존 어류 집단 폐사 원인과는 달리 보인다. 물론 해수면 수온의 일시적 변화나 해양오염, 다양한 이유가 존재할 수도 있지만 이번 집단 폐사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집단 폐사가 어업 규제로 말미암아 빚어진 사태라는 추측도 시선을 끈다. 수산자원관리법에 따라 수산자원 번식이나 보호를 목적으로 포획·채취 금지 기간·구역·수심·체장·체중 등을 정한다. 현재 청어 잡이를 금지하는 길이는 20㎝다. 멸치권현망어선은 멸치만 잡아야 하는데, 어업 특성상 포획 과정에서 청어 등 다른 어종을 거를 방법이 마땅찮아 수면에 배출했다는 것이다.

합리적 설명이 어려운 사건이 발생하면 흔히 비이성적인 억측이나 추론이 등장하여 세간의 이목을 끄는 일이 곧잘 벌어지곤 한다. 기후 위기가 원인일 수도 있다는 주장 또한 연장선에 있다. 기후위기로 자연생태계에 뭔가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추정을 가상의 주장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자연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보기 드문 사건이나 사고 원인을 기후위기 탓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평범하지 않은 사고를 그저 우연하고 일시적인 사건이라고 일축할 수는 없다.

창원시 등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까지는 종 특이성 질병이나 수온, 빈산소수괴(산소가 적은 물 덩어리) 이상 등의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물고기 집단폐사를 가볍게 보아서는 안될 일이다. 재발을 막고 또다른 피해를 예방하려면 철저한 원인 규명이 그 출발점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