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건강가족지원센터 포럼
현 지원책 '노인 편중'지적
청년 등 세대별 구체화 제안
지원센터 설립 등 의견 나와

다인 가구 중심의 가족 정책에서 벗어나 이제는 1인 가구를 포함한 보편적인 지원을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인 가구 증가세를 감안해 새로운 가족 정책을 고민해야 할 시기가 도래했다.

경남에서도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적 고민을 나누는 자리가 마련됐다. 경남도건강가족지원센터는 지난 3일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방향 모색'을 주제로 가족정책포럼을 열었다.

김지미 경남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가족의 형태가 바뀌면, 정책도 달라져야 한다"며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를 내세워 가족을 통제하려는 정책에서 벗어나 다양한 가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1인 가구를 '새로운 가족'으로 바라보는 변화는 이미 감지되고 있다. 2021년 9월 말 기준 전국 주민등록인구 중 1인 가구는 40.1%에 이른다. 정부도 2018년부터 건강가정기본법에 1인 가구를 포함하는 등 가족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혜진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 1인 가구 현황과 실태조사 그리고 방향을 짚었다. 1인 가구 지원 근거가 되는 조례가 주로 노년층, 고독사 예방 중심으로 마련돼 있고, 구체적인 지원 사업이나 내용이 부족한 점을 들어 조례 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3일 오후 창원과학체험관에서 1인 가구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경남가족정책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김다솜 기자
▲ 3일 오후 창원과학체험관에서 1인 가구 지원 방안을 중심으로 경남가족정책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김다솜 기자

이어 경남도 1인 가구 실태조사(2020년)를 토대로 지역 1인 가구 생활 및 가치관, 경제 생활, 주거 및 안전 등 특성을 소개했다. 정책 필요도(5점 기준)에서 가장 높은 응답을 받은 건 '경제 및 일자리 지원'(3.97)이었다. 주거안정 지원(3.92), 안전환경 조성(3.78), 건강 증진(3.75), 주거환경개선(3.73)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위원은 1인 가구 정책 수요도를 실현할 방안으로 '지원센터 설립'을 강조했다. 1인 가구를 돕는 전달 체계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그는 "1인 가구가 위기에 처했을 때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게 있느냐고 물어볼 곳이 하나도 없다"고 지적했다.

세대별 1인 가구 지원 방안을 고민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청년과 중장년층 그리고 노년층으로 나눠 세대별 1인 가구가 필요로 하는 정책이 무엇인지 토론이 이어졌다.

김영순 창원시마산가족센터장은 청년과 노년층만이 아니라 중장년층 1인 가구도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김 센터장은 20~30대는 미혼자 집단, 60~70대는 사별, 40~50대는 이혼이나 분거 및 별거로 1인 가구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짚으면서 근린 중심 자조망 구축에 관심을 둬야 한다고 했다.

조정우 경남종합사회복지관 차장은 "경남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다섯 번째로 높은 비율을 가지고 있는 만큼 1인 가구 가족정책과제 주요 대상"이라며 "1인 가구 지원은 노인 중심으로 편중된 경향이 강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나, 대부분 개별적이고, 선별적인 지원책인 점이 과제"라고 말했다.

청년 1인 가구를 대표해 토론에 참여한 김민재 씨는 "청년 1인 가구 지원 사업 대상자를 전면적으로 확대하고, 일관된 정책이 필요하다"며 "청년 1인 가구가 반드시 결혼과 출산으로 새로운 가족으로 변화한다는 걸 전제로 두지 말고, 현재 요구에 맞는 가족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성호 도건강가족지원센터장은 "이전에는 1인 가구를 특별하게 봤다면, 지금은 보편적인 현상이 됐다"며 "1인 가구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이번 포럼을 개최하게 됐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