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사회연구소 보고서
"친환경 등에 쏠려 논의 소홀"
평가에 세부 기준 반영 건의

ESG경영(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 모색)이 확산하고 있으나 그 속에서 노동 화두는 다뤄지지 않아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남에서도 최근 10개 중견·중소기업이 EGS 경영 도입에 나섰다. 이에 발맞춰 경남도는 ESG 실적이 좋은 기업은 원청(대)기업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금융기관에서 낮은 이자로 자본을 확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남형 ESG 확산사업 방향을 정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송관철 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에서 "ESG 평가 기준(다양성·노동기준 준수·임원 보상 등)이 노동시장·노사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음에도 논의 과정에서 노동이 외면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연구위원은 "ESG 논의는 사회적 포용, 경제적 발전, 지속가능한 환경의 유기적 목표 설정과 인간 중심 가치 지향을 최우선으로 하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범주에 있고, 그 안에서 기업은 어떻게 운영·활동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제시한 10대 노동정책에는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투자지원·책임있는 투자 장려 등 내용이 있는데 이는 EGS 가치 지향성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송 연구위원은 "보편적 노동, 성평등, 평생교육, 노동권 보장, 노동시간 자율성 확대, 노사단체 대표성 보장 등 다른 정책 대부분도 ESG와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면서 ESG와 노동 의제 연계성이 높은 만큼 둘을 연결하는 논의를 활발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안전하게 일할 권리, 노조할 권리, 일터 민주주의 강화 등 한국노동사회연구소의 '노동정책 10대 의제'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추진하는 'ESG의 노동 관행에 대한 지침'과 대부분 연계해 있다"며 "한국 사회 노동 의제와 세부적으로 제시되는 바람직한 방향성 등이 ESG 평가에 반영된다면 더 나은 노동 환경이 구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기업 간 거래 때 '노동기준을 바람직하게 준수'하는 기업을 우선 배려하는 포지티브 전략이 기업 내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친환경 중심으로 변화하는 경영정책에 따라 생산만 조정·축소되는 등 노동시장 축소 위협이 예측되므로 상생협력 방안 등도 모색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