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서 여성장애인 교육 토론
장애인-여성 이중 차별 지적
"공교육 배제돼 사회적 고립"

전국 여성장애인 10명 중 7명은 중졸 이하 학력으로 나타났다. 이벤트성 교육 사업이 아닌 여성장애인 생애주기와 특수성을 반영한 평생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한국여성장애인연합 경남지부 경남여성장애인연대는 26일 오후 2시 창원 3·15아트센터 제5강의실에서 '2020년 여성장애인 특화된 교육권 확보-지역장애인 평생교육 사례중심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여성장애인연합이 코로나19로 제19회 여성장애인대회 대신 지부별로 마련한 행사다.

이날 이정미 대구지부 대구여성장애인연대 대표가 '여성장애인 평생교육의 현재와 나아갈 방향 제고'를 주제로 발제했다.

발제에 앞서 이정미 대표는 "교육은 가장 기본적인 권리이지만 여성장애인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가정에서 차별받고,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사회 속에서 배제돼 교육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다중차별에 시달리고 있다"며 여성장애인이 처한 현실을 설명했다. 특히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가율이 낮고 실업률이 높은 이유로 교육의 차이를 꼽았다. 낮은 교육 수준이 취업 기회를 제한해 여성장애인들이 취업에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 26일 오후 창원 3·15아트센터 제5 강의실에서 열린 여성장애인 평생 교육권 확보를 위한 토론회에서 허문희 마산장애인복지관 가족문화지원팀 팀장이 발언하고 있다. /김신아 인턴기자 sina@idomin.com
▲ 26일 오후 창원 3·15아트센터 제5 강의실에서 열린 여성장애인 평생 교육권 확보를 위한 토론회에서 허문희 마산장애인복지관 가족문화지원팀 팀장이 발언하고 있다. /김신아 인턴기자 sina@idomin.com

실제로 2017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여성장애인 가운데 중졸 이하가 70.1%로, 중졸 이하 남성장애인(42.8%)과 비교하면 기초학력 수준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공교육에서 배제는 인간관계 소외, 성인기 직업활동에서 차등적 결과로 이어진다"며 "특히 정규교육에서 소외는 고립을 경험하게 해 외부 활동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정서적 장벽과 고립으로 박탈감을 가중하며, 경제적으로는 빈곤층으로 하락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또 지금까지의 단발성 프로그램으로는 여성장애인 현실 변화와 근본적 가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여성장애인 평생교육권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장애 여성 맞춤형 교육을 할 여성장애인평생교육센터 설립 △여성장애인 평생교육을 지원할 법적 근거 마련(여성장애인 기본법 제정) △여성장애인 교육 여건을 개선할 장기계획 수립 등을 제안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강정순 경남아자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과 허문희 마산장애인복지관 가족문화지원팀 팀장, 김정일 창원장애인평생학교 교장이 각각 발표했다.

특히 김정일 교장은 평생교육 정책적 지원을 촉구했다. 그는 "전체 267만 명 장애인 중 평생교육을 받는 장애인은 2.6%밖에 안 된다"면서 "앞으로 평생교육은 자립생활능력과 사회적응능력으로 장애인이 소외됨 없이 양질의 평생학습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