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이전·위축 연관된 전 도지사들
다시 돌아와 구애하는 걸 보니 분해

선거철이 왔다. 흘러간 노래들이 다시 울리고 대통령의 꿈을 꾸던 경상남도지사를 지낸 이들이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구애를 할 모양이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한 사람은 경남문화재단을 만들고 한 사람은 경남콘텐츠진흥원과 경남영상위원회를 만들었던 것 같다. 그리고 또 한 사람은 이 모든 가치를 통합해서 경남문화예술진흥원으로 구조를 조정하고 자신이 다닌 합천 덕곡의 폐교된 초등학교로 보내버렸다.

그리고 도지사가 바뀌었다. 금방이라도 회복될 것 같았던 비정상의 정상화는 경남민예총이 주최·주관하고 경상남도가 후원한 2017년 9월 27일 토론회를 비롯해 많은 자리에서 논의되었다.

일방적으로 통폐합한 경남도 문화정책을 한목소리로 비판했고 전문성 강화를 위한 영역별 분화 필요성이 역설되기도 했다.

지금의 윤치원 원장은 당시 발제를 통해서 "정치적인 간섭으로부터 벗어나 표현의 자유, 독립성과 자율성이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가장 먼저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위상 재정립을 주문했었다. 구체적으로 2013년 통합된 경남문화재단·콘텐츠진흥원·영상위원회 기능과 역할을 기초예술지원 육성 정책 기구, 문화예술교육 단위, 문화콘텐츠 육성 기구 등 단위로 역할별 분화를 내세웠다.

그리고 다양한 논의구조에서 뒤로 가는 경남문화예술서비스에 대한 성토가 있었다. 2016년 7월 21일 필자는 경남도민일보 지면을 빌려 시대착오적인 진흥원 이전에 대해 지적한 바 있다.

알다시피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은 홍준표 지사가 취임하면서 2013년 7월 기존 경남문화재단·경남문화콘텐츠진흥원·경남영상위원회, 이렇게 3개 기관을 업무 효율성과 전문성 향상을 이유로 통합했었다. 그러나 이 3개 기관 통합과 진흥원 이전으로 경남문화예술계가 위축되고 콘텐츠 진흥은 멈추었고 영상위원회는 유명무실하게 흔들렸다.

통합과 이전으로 무엇을 얻었을까?

인구 1000명도 되지 않는 합천군 덕곡면의 외진 곳으로 옮겨짐으로써 문화행정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여러 불편은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마치 도지사가 바뀌면 정상화가 이루어질 것 같았던 비정상은 아직 여전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통령 꿈을 꾸면서 떠났던 이들이 다시 경남으로 돌아와 흘러간 옛 노래를 부르는 걸 보고 있자니 분한 기분을 어쩌지 못한다.

폐교된 지사의 모교를 재생하기 위해서 진흥원에서 부담하는 40억 원은 문화예술 지원 목적 외 기금 사용을 금지했던 조례를 개정하면서까지 진행되었다.

그리고 재단 설립 때 했던 2025년까지 1000억 원의 기금을 확보한다는 계획은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도민의 창조적 문화예술 활동 지원과 지역 문화예술 진흥, 도민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로 경남을 재창조하겠다는 설립 목적은 뒷전이 된 것이다.

아직도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이 합천군 덕곡면의 외진 곳에 있는 상황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저금리 예술 활동 자금 대출 지원사업인 '그라민 금고', 창작공간 지원 조례 제정과 예술인복지센터 설립, 예술인임대주택과 예술인 마을 등을 계획하거나 실현하고 있다. 하지만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이 지금과 같이 합천에 있는 한 아무리 후하게 점수를 줘도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서비스는 낙제를 면하기 어렵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