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악화로 문을 닫는 산부인과가 하루가 다르게 늘고 있다. 임산부에게는 위험과 두려운 현상이고 우리 사회 전체로는 미래 단절이라는 엄혹한 현실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거제시는 인구 25만 명이며 조선산업 메카로 비교적 젊은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그런데 거제시에서 유일하게 응급분만이 가능한 대우병원이 분만실 폐쇄를 예고했다. 출산율이 낮아져서 적자가 쌓여 분만실과 신생아실 운영을 중단한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거제시의 응급 출산 환자는 인근 창원·진주 등으로 나가야만 한다. 그만큼 위험한 응급이 되는 것이다.

분만취약지역이 늘어나면 그 지역에는 젊은 인구 유입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대도시로 인구가 몰릴 것이고 그것은 국가균형발전에도 심각한 저해 요소이다. 가뜩이나 고령화·공동화로 신음하는 경남 도내 농어촌 지자체들에는 당장 발등의 불이기도 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분만할 수 있는 산부인과는 2008년 954곳에서 2016년 565곳으로 8년간 389곳이 문을 닫았다. 분만취약지역은 해당 지역에 사는 가임 인구 여성 중 1시간 이내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에 도착할 수 없는 인구가 30% 이상인 지역을 말한다. 분만취약지역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17년 12월 기준 전국 250개 시·군·구 중 산부인과가 없거나 산부인과가 있어도 분만이 어려운 지역은 63개 시·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로 인구가 적은 농어촌 지역이 해당한다.

산부인과가 줄어들고 분만취약지역이 늘어나는 이유는 신생아 수 감소에 따른 운영 비용 증가와 의료사고 위험 등 근무환경 악화이다. 경남지역 지자체들이 산부인과 유치와 병원 이송, 응급의료 상담 지원 등을 하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될 수 없다. 근본 원인은 가임 세대인 젊은 층이 대도시로만 몰리고 이들 또한 출산을 기피하는 데 있다.

보건복지부는 2011년부터 분만취약지 선정 사업을 시행해 시설 장비 구매비 등 산부인과 분만실 설립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책은 아니다. 우선은 비용을 투입해서라도 그렇게 해야 하지만 국가 균형발전과 출산 기피 현상 해소를 위해서는 국가적 결단이 있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