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영국 의원 주최 창원 토론회
전문가 "모바일은 이용 제한"
취약층 사업에도 종이식 편의

창원시가 제로페이와 연계한 모바일 창원사랑상품권을 지난 8월 발행한 가운데 단기적으로 지류(종이)식 상품권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오후 창원시 의창구 신월동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지역화폐를 통한 골목상권 살리기'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여영국 국회의원이 진행하는 '공감·경청 민심행보 만인보(萬人步)' 시리즈 중 첫 번째로 마련된 토론회다.

이날 토론회에서 정호진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한 지역화폐(창원사랑상품권)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언'에서 "지역화폐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선순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전자식 발행을 고수해야 하지만 이용 계층이 제한된다는 현실적 제약을 감안할 때 중장년층에게 친숙한 지류식 상품권을 발행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시는 지난 8월 제로페이와 연계한 모바일 창원사랑상품권을 100억 원어치 발행한 가운데 내년에는 500억 원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모바일' 형태로 상품권을 발행했다. 이는 할인율을 확대하면 할인받은 상품권을 되팔아 현금화하는 '상품권깡' 등 종이류 상품권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였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모바일 상품권은 이용 실적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수급을 조절할 수 있는 데다 지역경제 선순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결제시스템에 익숙하지 못한 장년층의 경우 접근하기가 쉽지 않아 원천적으로 배제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 24일 창원시 의창구 신월동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지역화폐를 통한 골목상권 살리기' 정책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류민기 기자
▲ 24일 창원시 의창구 신월동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지역화폐를 통한 골목상권 살리기' 정책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류민기 기자

정 연구위원은 "실질 구매력이 높은 중년층 또한 20·30대보다 상대적으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이용 비율이 저조해 창원사랑상품권 이용 확대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지류식 상품권이 필요하다. 시 역시 오는 12월 지류 상품권을 발행하기로 하고 가맹점을 모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복지수당 지급 수단으로 상품권을 활용할 경우에도 이용 편의를 위해서 지류식 상품권 발행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장기적으로는 전자식·모바일 상품권 비중을 높여나가야 한다. 하지만 지역화폐의 경우 온라인 마켓에서 이용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다. 자치단체가 구축한 온라인 마켓에서 이용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역외 소비 유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전자상거래인 현실에서 역내 소득·소비 간 선순환 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범용 창원사랑상품권 전자상거래 결제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정 연구위원은 "일반 전자상거래나 오픈마켓 사용분 일부라도 역내 소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오픈마켓의 경우 개인 판매자들이 거주지 혹은 사업장 소재지에 따라 지역별 고향사랑상품권으로 결제가 가능하게 만드는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 같은 결제수단 도입은 자치단체 노력만으로 불가능해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정 연구위원 외에도 신규철 (사)전국중소유통상인협회 정책이사가 '지역화폐를 통한 골목상권 살리기' 주제발표, 안광호 인천시 인천e음운영담당이 '인천e음 전자상품권 플랫폼 소개' 사례발표를 했다

하선영 경상남도소상공인연합회 제로페이추진단장, 이윤기 경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등도 지역화폐와 관련한 주제로 토론을 펼쳤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