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16일은 부마민주항쟁기념일이다. 그동안 부마민주항쟁을 들어는 봤지만 잘 모른다던 시민들도 지역사회 노력과 정부의 국가기념일 지정으로 자긍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학교 학생 5000여 명, 18일 마산대학교·경남대학교 학생들은 '유신정권 물러가라, 정치탄압 중지하라'며 민주공화당사·파출소·방송국을 타격하는 등 격렬한 시위를 전개했다. 부마항쟁은 1970년대 학생운동의 교내 시위 차원을 뛰어넘어 수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민중항쟁이다. 당시 마산 부림시장 아주머니들도 시위 학생들을 숨겨주고 물을 주며 동조했다. 90%가 넘는 시민이 항쟁에 참여했다. 마산에서는 3·15부정선거에 항거한 시민 동조에 버금가는 일이었다.

그로부터 40년이 흘렀다.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부마민주항쟁은 세대·이념을 아우르는 40주년이 되어야 한다. 부마항쟁은 3·15와 달리 학생 선도 이후에 산업화 산물인 자영업자·노동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아무런 이념 갈등 없이 자유와 민주 헌정질서 회복을 위해 한마음으로 국민저항권을 관철한 사례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기념일은 보수·진보, 우파·좌파를 모두 아우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부마항쟁 기념사업이 균형 잡힌 시각으로 이바지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번 기념일 부산에서는 부마민주항쟁 40주년을 맞이해 당시 항쟁이 가장 격렬했던 남포동 일대에서 상황을 재현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참여해 1979년 당시 분위기와 열기를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기획이다.

여전히 녹록지 않은 시대에 새로운 시작을 계기로 우리는 부마민주항쟁을 어떻게 기억하고 기념해가야 하는가. 40년 만에 다시 우리는 그 자리에 서 있다.

지역사회 노력 속 인식 변화는 가져왔지만, 제대로 된 진상규명은 과제로 남았다. 특히 항쟁 관련자 보상법 개정은 국가기념일 제정을 계기로 깊이 들여다볼 때다. 부마민주항쟁 40주년이 한 걸음 더 나아가는 논의를 이어가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